김성수
김성수
평균평점
필객

<필객> 아들의 무공 입문을 대가로 기피하던 무림 문파의 비밀 건축물을 짓게 된 아버지. 그 사검문의 지하 공간에선 중원 무림을 도모하는 음모가 꾸며지고 아버지는 아들을 탈출시키기 위해 죽음을 맞이한다. 야망을 위해 생명을 거침없이 희생시키고 언제나 민초 위에 군림하는 무림인! 그들의 위선과 오만을 응징하기 위해 칼이 아닌 붓을 들어 무림월보를 창간하는 현성! 김성수의 신무협 장편 소설 『필객』 제 1권.

블라인드47

<블라인드47> “충성! 신고합니다. 일병 강동식은 1951년 10월 4일 입대하여 1998년 11월 25일부로 전역을 명받았습니다. 이에 신고합니다. 충성!” 이 책은 탈북 국군 포로의 실화를 바탕으로 쓰여진 논픽션 소설로 현재 국회의원 보좌관으로 있는 김성수 보좌관의 국군 포로 실화소설이다. 한국전쟁이 중단된 지 40여 년이 지난 1994년, 조창호 소위를 시작으로 1997년 양순용, 1998년 장무환 옹이 칠순의 고령에 북한을 탈출하여 남한으로 돌아오면서 국군 포로의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굶주림과 질병으로 죽음이 일상인 포로수용소, 강압과 회유에 흔들리는 양심, 자신의 의지나 의사와는 상관없이 결정되는 운명, 국군 포로의 신분이 북한 2세들에게 대물림되는 참혹한 현실과 평생 조국이 자신들을 구해 줄 것이라는 기대감은 늘 절망감으로 귀결되는 한 국군 포로의 삶의 여정을 가슴 저리게 그려내고 있다. [블라인드47]은 빛과 어둠, 희망과 절망이 반복되는 국군 포로 생활이라는 점에서 블라인드(Blind)라는 제목을 붙이게 되었다. 그리고 [47]이라는 숫자는 소설의 주인공이 포로에서 북한을 탈출할 때까지 억류되었던 기간 47년을 의미한다. 이 소설은 여러 국군 포로들의 단편적인 실화를 모아 하나의 스토리로 재구성했고, 80%의 논픽션과 20%의 픽션으로 쓰여 있다. 주인공의 행적에 따라 그 시기의 역사적 사실과 사건 배경이 되는 지명이나 부대명 등을 실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전쟁이 주제가 된 소설은 꽤 있었지만 국군 포로를 주제로 다룬 소설은 [블라인드47]이 처음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나는 공산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 민주주의를 말하고 싶지는 않았다. 승자도 패자도 없이 끝난 한국전쟁의 대표적인 비극인 국군 포로 이야기를 쓴 것뿐이다. 국군 포로들은 자신의 영욕을 위해 싸운 것도 아니다. 그런 그분들이 북한 땅에서 죽음과 맞서 싸우고 있을 때도 우리는 그 존재마저도 까맣게 모르고 있었다. 이 글을 통해서나마 눈을 감는 그 순간까지 희망을 놓지 않을 국군 포로 분들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는 [작가 후기]에서처럼, 2010년 6.25 한국전쟁 60주년을 맞아 전쟁과 국군 포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충분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파이널 라운드 1

<파이널 라운드 1> <‘수사반장’이 펼쳐내는 조직범죄 수사실화 소설> 현직 ‘수사반장’ 시절 사기범죄 수사실화집 <돈을 쫓는 사람 그를 쫓는 경찰>로 사기꾼들의 세계를 리얼하게 보여주었던 작가가, 거대한 조직범죄를 수사했던 실화를 소설화한 작품이다. 작품은 수년에 걸쳐 전국으로 은밀하게 유통된 가짜휘발유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가짜휘발유 제조와 유통은 1970년대부터 지속적인 단속에도 불구하고 근절되지 않았고, 작품은 작가가 수사관 시절 가짜 석유제품의 원조 격인 세녹스를 전국으로 유통하던 조직망을 일거에 소탕한 수사사례가 바탕이 됐다. 작품은 실화에 상상력이 더해져 완전히 새롭게 태어났지만, 범죄조직과 싸웠던 수사관만이 아는 실제 상황과 경험이 곳곳에 녹아들어 현장감과 사실감을 극대화하고 있다. 독자는 치열하게 쫓고 따돌리는 범죄조직과 수사의 세계가 한 편의 첩보영화처럼 펼쳐지는 가운데, 손에 땀을 쥐는 스릴과 흥미로 특별수사팀 ‘블랙’만의 ‘파이널 라운드’를 감상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