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왼손은 왕, 오른손은 왕의 필경사> 소설 형식을 파괴하는 작품 세계로 등단과 동시에 평단의 뜨거운 주목을 받아온 소설가 한유주의 세번째 소설집이다. 첫 소설집 『달로』와 두번째 『얼음의 책』에서 보여준 읊조리는 듯한 시적 문장과 기존 서사를 해체하는 시도를 이어가면서도 이번 소설집에서는 언어 자체의 불가능성에 대한 고민을 확장하며 문학의 본질에 대한 집요한 질문을 계속한다.
이번 소설집에서 한유주는 글쓰기를 일종의 받아쓰기, 혹은 베끼기라 명명한다. ‘쓰기’는 인간의 자유로운 사유를 온전히 드러내지 못하는 불완전한 행위이지만, 동시에 이 행위 자체가 필연적인 실패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기도 한다. 한유주는 이번 소설집에서 ‘베끼기’의 필연성에 천착하여 인간의 글쓰기 욕망을 바라보고 실험한다. 수록작 「자연사 박물관」 중에서)는 토마스 베른하르트가 쓴 "희극입니까? 비극입니까?"의 서사(산책하다가 만나게 된 여장남자 살인범과의 동행)와 똑 빼닮은 이야기가 진행된다. 표절인가? 아니, 그녀는 소설 속에서 끊임없이 ‘베끼고 있는 행위’ 자체를 독자에게 계속 자각시킨다. 그 여장 남자가 어떠한 행동을 했는지, 소설 속 인물은 어떠한 공포를 느꼈는지 등은 중요하지 않고, 토마스 베른하르트를 베꼈다는 점에 대해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소설 속에서 서사를 압도하고 전복시켜버리는 이러한 극단적 실험을 통해 한유주가 말하려는 것은 무엇인가?
이 책의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강동호는 한유주의 소설에 대해 “소설이 무엇인지에 대해 기꺼이 고민해보려는 독자들에게 ‘글을 쓴다는 것에 대한 그 물음의 글쓰기’ 즉, 소설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앎이 끊임없이 무너지고 샘솟으려는 기미로 충만한 자리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작가는 소설이 무엇이고 소설 쓰기란 무엇인지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한다. 그러면서 한유주의 소설은 쓰여지고 계속되는 것이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