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 20대에는 ‘연애 소설’을 위주로 써야 한다는 것이 내 지론이었다.
29살이 되는 동안, 단 한 번의 사랑도 이별도 실연도 없었다.
아이러니하다.
아니, 어쩌면, 그래서 내 연애 소설에는 한계가 있었나 보다.
사랑이라는 것은, 남녀의 상호교환적 감정 교류, 라고 정의하고 싶다. 그래서, 나는 짝사랑을 사랑이라고 정의하지 않았다.
온전하지 않은 불완전 것이므로. -약간 모순적이기도 한데, 그래서, 내가 쓴 연애 소설은 대부분이 불안하고, 불완전한 이야기들이었다.
머릿속 상상과 지인들의 간접 경험으로 글을 이어가고 있지만, 언젠가 그 소재들이 고갈될 것만 같다.
그러면, 그때 -필력이 뛰어나진 않았으나 내 감성으로, 마음속 깊이 타인의 진심을 감정이입하여 써내려갔던 이야기를 놓아야 할 테다.
-머리말 중-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