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 많은 고양이> '사건 해결을 넘어 살인자의 복합적 심리에 주목한 선구적 작품
미스터리 평론가들이 뽑은 엘러리 퀸의 후기 대표작!
뉴욕 한복판에서 실크 끈에 교살된 시체가 연이어 발견된다. 범행 동기 불명, 희생자의 나이와 직업, 거주지는 모두 제각각. 용의자도 목격자도 없는 이 사건에서 단서가 될 만한 것이라곤 남자는 파란색 끈에, 여자는 분홍색 끈에 각각 목이 졸렸다는 점뿐이다. 전례 없는 무차별 범죄 앞에서 경찰 수사가 답보 상태에 빠져 있는 사이 ‘고양이’라 불리는 연쇄살인마의 공격은 계속되고, 공포로 마비된 도시는 점차 걷잡을 수 없는 혼돈과 집단 광기에 휩싸이는데……. ‘고양이’의 정체는 무엇이며 그는 왜 이런 범행을 저지르는가?
1949년 발표한 《꼬리 많은 고양이》는 엘러리 퀸의 전작들과 확연히 다른 스타일을 보여준다. 이전 작품들이 한 집안이나 작은 마을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을 주로 다룬 반면 《꼬리 많은 고양이》는 뉴욕이라는 현대적 도시를 배경으로 불특정 다수를 노리는 무차별 범죄를 그렸다. 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사건 앞에서 한없이 무기력해지는 경찰 조직, 이윤을 위해 자극적인 보도도 서슴지 않는 황색 저널리즘, 군중심리에 휩쓸려 근거 없는 루머를 실어 나르고 혼란을 가중시키는 시민들의 모습은 과거에 비해 훨씬 복잡한 양상을 띠는 오늘날의 범죄를 연상케 한다. 한편 빈틈없는 논리와 이성(how)에 집착하는 대신 범인의 내면(why)을 이해하려 애쓰고, 심리학적, 정신분석학적 이론에 따라 살인자의 복합적 동기에 접근해가는 엘러리 퀸의 모습은 이전보다 한층 진화한 명탐정의 면모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추리소설의 황금기를 이끌었던 엘러리 퀸이 이처럼 작풍의 변화를 도모한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대공황과 두 번의 세계대전을 거치며 쓰디쓴 현실을 맛본 독자들은 완전무결한 명탐정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비현실적 추리에 점차 등을 돌리기 시작했다. 엘러리 퀸 역시 이러한 흐름을 비껴갈 수는 없었고,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한 새로운 스타일로 거듭나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지극히 현실적인 이유로 변화를 꾀했음에도 엘러리 퀸은 거장답게 인간에 대한 깊어진 시선을 증명해 보이며 최고 걸작이라 해도 손색이 없을 작품을 탄생시켰다. 미스터리 평론가이자 저술가인 프랜시스 네빈스는 《열흘간의 불가사의》와 함께 《꼬리 많은 고양이》를 퀸의 최고 걸작으로 꼽았고, 소설가 조지프 굿리치 역시 “종전 후 황폐해진 맨해튼을 배경으로 긴장감 넘치는 이야기를 완성도 높게 풀어냄으로써 독자들에게 지적, 도덕적 만족감을 제공한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이 작품은 노리즈키 린타로의 《또다시 붉은 악몽》, 아비코 다케마루의 《뫼비우스의 살인》 등 일본의 굵직한 미스터리 작가와 그들의 작품에 직접적으로 영감을 주기도 했다. 《꼬리 많은 고양이》를 읽다 보면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을 법한 인물들의 사연에서 작가가 품고 있는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을 느끼게 된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