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문> 최찬식의 신소설 《금강문(金剛門)》은 애정 문제를 중심으로 재산상속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음모와 인과응보, 금강산의 아름다움에 대한 자세한 묘사와 지형 지세를 일종의 기행문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신소설의 문학사적 특징은 일반적으로 문체가 묘사적이란 점이다. 고대소설이 설화체에 그치는 점과 대조를 이룬다. 또 소재 채택과 사건 전개에 있어서 본질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해 고대소설은 예외 없이 소재를 비현실적인 데에서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신소설에서는 그 소재들이 대체로 우리 주변에서 일상 일어나는 것들이다. 그 사건 또한 현실적으로 가능한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이는 신소설이 고대소설보다는 근대소설 쪽에 한 걸음 더 다가섰음을 뜻한다.
학창 시절 국어 시간에 암기하듯 달달 외운 기억이 있는 신소설의 연대기적 개념은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일본에 예속되어 가던 약 15년간의 조선 사회의 황폐한 구조와 당대인의 삶의 양상을 잘 담아낸 서사 양식으로 이인직을 비롯해 이해조, 최찬식, 안국선, 장지연 등 1918년 이광수의 《무정》이 나오기 전까지 창작되거나 발표된 소설들을 한국문학사에서는 ‘신소설’로 분류하고 있다.
이 신소설 작품들은 개화기 수백 년간 지속되어 온 봉건 질서의 해체와 새로운 식민자본주의의 형성기를 배경으로 한 우리나라 개항시대의 시대적 이념을 형상화하는데 가장 야심적이고 대표적인 서사 양식이었다. 그러므로 신소설은 이때 가장 광범위한 독자층을 형성하였다.
최찬식의 신소설 《금강문(金剛門)》은 삼각관계를 그리면서 신ㆍ구 가치관을 절충시키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오랫동안 헤어졌던 약혼자 사이에 부모가 정해준 신부가 끼어들어 신ㆍ구 가치관과 함께 인생의 파탄을 표출하면서 갖은 곡절 끝에 그 여자를 부실(副室)로 들어앉히는 것으로 끝을 맺고 있다.
본서는 1914년 8월 19일 동미서시(東美書市)에서 초판이 발간된 최찬식의 《금강문》을 일반 독자들이 국어사전이나 옥편 없이 그대로 줄줄 읽을 수 있도록 고어체 원고를 현대어 가로쓰기 전자책(이펍 2.0) 판형으로 번역한 편역본에다 최초 발표된 《금강문》 초판본을 <책 속의 책> 형태로 삽입한 전자 도서이다. 그러므로 이 전자책 한 권으로 초판본 원본과 현대문 번역본을 대조해 가며 함께 읽을 수 있는 재미와 실리를 구현할 수 있다. ●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