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마녀였을 때> 내가 마녀였을 때, 세상은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었다!
사회 구조를 전복하는 상상력과 특유의 시니컬한 유머가 절묘하게 결합한
샬롯 퍼킨스 길먼의 단편소설집
현대 페미니즘의 예언자이자 선구자로 불리는 샬롯 퍼킨스 길먼은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참정권을 얻는 것보다 더 크고 근본적인 여성의 해방을 고민했다. 《내가 마녀였을 때》에 실린 작품들은 시대를 앞서갔던 그의 상상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단편들로 지금 이 시대에 쓰여졌다고 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만큼 생생하다.
마녀의 모습으로 기울어진 세상을 비웃는 <내가 마녀였을 때>, 독박 육아와 공동육아에 대한 급진적 상상력이 담긴 <모두가 행복해지는 방법>, 남편의 아이를 가진 여성을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동료로 맞이하는 <전화위복>, 배우자의 죽음으로 비로소 결혼이라는 억압에서 벗어나 여행을 떠나는 노인 여성이 등장하는 <과부의 힘>, 의료계의 성 편견을 꼬집는 <누련 벽지> 등 예상치 못한 반전을 일으키며 우리를 놀라게 한다.
‘폐쇄적인 가족주의와 여적여(여자의 적은 여자) 구도를 벗어나지 못한 서사’가 여전히 가득한 21세기에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하늘에서 뚝 떨어진 듯한 샬롯 퍼킨스 길먼의 세계는 우리에게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는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