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어머니> 나의 어머니
1929년 조선일보에 박계화(朴啓華)라는 필명으로 <나의 어머니>를 발표함으로써 문단에 데뷔하게 된 작품이다.
아버지의 눈을 피해 서울로 올라온 백신애는 사회주의 단체인 ‘경성여성청년동맹’과 ‘근우회’ 같은 사회 계몽 단체에 가입해 활동하며 전국 순회 강연 등에도 나서 요주의 인물로 일본 경찰의 감시를 받는다. 1927년 9월, 그는 소련 땅인 블라디보스토크로 떠나지만 얼마 뒤 일경에게 체포되어 가혹한 고문을 당한다.
나중에 이를 알게 된 그의 아버지는 일본 신문과 편지 외에는 책과 신문을 못 보게 하는데, “밤중 남들이 다 잠든 후 이불 속에서 전등불을 감추어 원고지만 비춰놓고 가만히 씁니다.” 라고 한 말처럼 악조건 속에서도 글을 써서, 1929년 5백여 명의 경쟁자를 물리치고 한국 신춘 문예 사상 최초의 여성 당선자가 되는 영예를 안는다.
평범한 소재를 “억지가 없고 순진한 정서”로 잘 살렸다는 최독견의 심사평 외에도, 백신애는 많은 평자로부터 작가적 자질을 인정받으며 한동안 장안의 화제가 된다. 당선작 「나의 어머니」는 아버지의 완고함 때문인지 남달리 어머니에게 애정을 품고 있던 백신애의 자전적 체험이 짙게 배어 있는 작품이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