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전 vs 심청가 (같은 인물, 다른 작품! 동시에 읽는 소설 : 심청전 열전)

심청전 vs 심청가 (같은 인물, 다른 작품! 동시에 읽는 소설 : 심청전 열전)

<심청전 vs 심청가 (같은 인물, 다른 작품! 동시에 읽는 소설 : 심청전 열전)> 심청전 vs 심청가
: 같은 인물, 다른 작품! 동시에 읽는 소설 - 심청전 열전!

* 같은 인물, 다른 작품(다른 느낌)을 한 권으로 함께 있는 E-BOOK 시리즈 입니다.

* <작자미상> "심청가 / 심청전"
# 부록(수록) : 거타지의 꽃(김유정 작품)

심청전은 연대 미상, 작가 미상인 한국의 고전소설이다.
심청전의 뼈대가 된 효녀 설화는 신라시대의 거타지 설화(居陀知說話)와 경상북도 경주의 연권녀 설화(또는 효녀 지은 설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신라시대의 거타지 설화는 진성여왕 때의 명궁(名弓) 거타지에 관한 설화이고 연권녀 설화(효녀 지은 설화)는 한성부에 거주하던 맹인 심씨의 이야기, 위선적인 양반들의 태도에 대한 희화화와 조롱을 곁들인 설화이다.

고소설 작품 중에는 당시에 민간에 전해오던 설화를 수용하여 구성한 작품이 많이 있다. <심청전> 역시 당시에 전해 오던 설화를 배경으로 하여 형성되었다. <심청전>의 여러 이본이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내용 단락과 그 단락을 구성하는 데에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하는 설화를 적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심청의 출생 : 태몽(胎夢) 설화
② 심청의 성장과 효행 : 효행 설화, 인신공희(人身供犧) 설화
③ 심청의 죽음과 다시 살아남 : 재생(再生) 설화
④ 심청의 아버지 만남과 아버지의 눈 뜨기 : 개안(開眼) 설화

<심청가沈淸歌>
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觀優戱)>에 <심청가>의 내용이 수록된 것으로 보아, 이 소리 역시 <춘향가>와 같은 시대의 작품임을 알 수 있으며, 순조(純祖) 때의 명창인 박만춘(朴萬春)이 <심청가>를 윤색(潤色)·개작(改作)하였다는 <조선창극사>의 기술이 이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심청가>는 효(孝)가 주제이지만 그 이면에는 유·불교의 틈바구니에서 고민하는 인간상을 부각시키고 있는 작품이다.
대표적인 창본으로는 완판(完板)·경판(京板)·신재효본·이선유본 등이 있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