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vs 이순신전 (같은 인물 다른 작품! 동시에 읽는 소설 : 이순신 열전)> 이순신 vs 이순신전
: 같은 인물 다른 작품! 동시에 읽는 소설 - 이순신 열전
* 같은 인물, 다른 작품(다른 느낌)을
한 권으로 함께 있는 E-BOOK 시리즈 입니다.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영웅) <이순신> 장군!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위한 수많은 소설과 TV드라마 그리고 영화 등... 미디어와 매체를 통해 다채롭게 표현되고 있다.
'이광수' 작가의 <이순신>
'(단재) 신채호' 역사가의 <이순신전> 2작품을
"같은 인물 + 다른 느낌"으로 작품을 이해하며 임진왜란의 영웅 아니... 조선의 영웅 그를 새롭게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
이순신(李舜臣, 1545년 4월 28일 (음력 3월 8일) ~ 1598년 12월 16일 (음력 11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이며, 한성 출신이다. 문반 가문 출신으로 1576년(선조 9년) 무과(武科)에 급제[3]하여 그 관직이 동구비보 권관, 훈련원 봉사, 발포진 수군만호, 조산보 만호,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를 거쳐 정헌대부 삼도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본인 스스로에게 엄격하고 청렴한 생활을 하고 깊은 효심을 지닌 선비의 모범으로 평가된다.
장수로서는 임진왜란 때 조선의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어 부하들을 통솔하는 지도력, 뛰어난 지략, 그리고 탁월한 전략과 능수능란한 전술로 일본 수군과의 해전에서 연전연승하여 나라를 구한 성웅(聖雄)으로 추앙받고 있다.
노량 해전에서 전사한 뒤 선무공신 1등관에 추록되고 증 의정부우의정에 추증되고 덕풍군에 추봉되었다가, 광해군 때 다시 증 의정부좌의정에 추증되고 덕풍부원군에 추봉되었고, 정조 때에는 증 의정부영의정으로 가증(加贈)되었다.
고려 때 정5품 중랑장(中郎將)을 지낸 덕수 이씨의 시조 이돈수(李敦守)의 12대손이며, 조선 초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를 지낸 이변(李邊)[4] 의 후손이다. 외가는 초계 변씨(卞氏), 처가는 온양 방씨(方氏, 당시에는 상주 방씨)이다. 그의 묘는 충청남도 아산시에 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