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연습>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가
개인과 역사에 드리워진 분단의 상처와 비극,
폐허의 가장자리에서 구축하는 새로운 인간의 조건
반세기 동안 대한민국의 시대와 역사를 관통하며 장대한 문학세계를 구축해 온 조정래 작가의 장편소설 『인간 연습』이 15년 만에 개정 출간된다. 일생을 걸고 추구했던 사회주의의 몰락 앞에 고뇌하는 한 장기수의 절망과 희망 찾기를 그려낸 이 작품은 사회적 신념과 본능적 욕망,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방황하고 실패하는 ‘인간 연습’의 한 단면을 절절하게 보여준다. 대하소설 3부작 『아리랑』『태백산맥』『한강』으로 우리 현대사 100년을 담아내는 과정에서 작가는 특히 개인과 역사에 드리워진 분단의 비극과 상처를 치열하게 파헤쳐 왔다. 시간적으로 그 말미에 놓이는 『인간 연습』은 분단 주제에 대한 20년에 걸친 작가정신의 분투와 천착을 매듭짓고 조정래 문학의 또 다른 장으로 전환을 예고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2006년 계간 [실천문학] 봄·여름호에 분재되었던 이 작품은 ‘사회주의 붕괴와 20세기’라는 주제로 사회주의 몰락의 원인을 문학적으로 규명한 전작 단편 「수수께끼의 길」([문학사상] 2004년 1월호), 중편 「안개의 열쇠」([실천문학] 2003년 겨울호)의 맥을 잇고 있다. 대하소설 3부작을 비롯한 이전 작품들이 우리 민족과 한반도에 일어났던 거대한 역사적 사건과 흐름을 객관적으로 재현하고 기록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이 작품은 “분단시대의 고통을 온몸으로 감당해온 한 개인의 시각을 통해 사회주의 몰락 이후의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문학평론가 황광수)
『인간 연습』은 오늘날 우리에게 피할 수 없는 질문을 던진다. 6·25전쟁 70주년이 지난 지금, 대한민국은 더 나은 인간다운 삶을 위해 어떠한 ‘연습’을 수행하고 있고 그 결과는 어떠한지, 또한 그러한 조건 속에서 개인들은 무엇을 위해 살아가야 하는지를 말이다. 모처럼 인간의 삶과 사회를 묵직하게 되돌아보는 계기를 선사해 줄 것이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