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꽃 필 무렵 외

메밀꽃 필 무렵 외

<메밀꽃 필 무렵 외> 순수를 향한 원시적 욕망을 서정적으로 그려낸 주옥같은 작품들!

이효석은 1928년 ≪조선지광≫에 단편 〈도시와 유령〉을 발표하면서 유진오와 함께 동반작가로 불리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1933년 발표한 〈돈〉을 기점으로 작품의 경향이 바뀌는데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몇 가지 유형을 보인다. 이 책에는 총 열두 편의 작품을 담았다.

〈도시와 유령〉에서 주인공 ‘나’는 사회적 궁핍을 동정하거나 사회적 개선을 지향하는 인물이다. 〈돈〉에서 자연에 귀의한 인물들은 〈들〉, 〈수탉〉, 〈메밀꽃 필 무렵〉으로 이어지며 자연의 서정성과 순수성이 함께 표현된다. 하지만 이 서정성과 순수성 안에는 도시생활이나 현실생활에서 낙오되고 좌절한 사람들이라는 공통분모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연에 귀의한 인물들이 겪는 자연스러운 행동으로 원초적 성을 추구하는데 〈성화〉, 〈분녀〉, 〈장미 병들다〉, 〈산협〉 등의 작품을 통해 동물을 소재로 하여 인간의 성적 욕구를 암시적으로 묘사하거나 원초적 성에 대한 윤리의식을 배제한 인물을 등장시켜 현실도피와 원초적 본능을 아우르는 성향을 보여준다. 또한 ‘새로운 것’에만 의존하지 않고 ‘낡은 것’에 눈을 돌린 〈은은한 빛〉에서는 소설의 형식적인 차원이 아닌 내용적인 측면에서 작가의 실험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1936년에 발표한 〈메밀꽃 필 무렵〉에서 이효석은 성과 자연이 하나로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아름답게 표현하여 한국 단편문학의 한 정점을 보여줬다. 특히 장돌뱅이인 허 생원, 조 선달, 동이 세 사람이 나귀를 타고 다음 장을 찾아가는 달밤의 행로를 그린 장면은 이 작품의 백미로 꼽힌다. 그는 등장인물들의 행위도 자연의 일부로 시적 문체로 묘사함으로써 이들의 고달픈 삶마저도 서정적으로 미화했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