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디메이드 인생 외 : 채만식 중·단편소설

레디메이드 인생 외 : 채만식 중·단편소설

<레디메이드 인생 외 : 채만식 중·단편소설> 일제강점기 사회적 모순을 풍자한 채만식의 중 단편소설!

채만식은 [세 길로]라는 짧은 단편이 1924년 12월 [조선문단]에 실리면서 작가활동을 시작했다. 25년 남짓한 기간에 [인형의 집을 나와서], [태평천하], [탁류] 같은 장편소설을 포함하여 많은 작품을 발표했다. 그중에서 작품 창작을 해나간 과정이나 유형을 고려해 11편의 중단편소설을 가려 뽑고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방민호 교수가 해설을 달았다.
작품 중에서 [세 길로]와 [레디메이드 인생]은 등단하던 때부터 빛을 볼 때까지를 대표한다. 새로운 교육에 대한 열망으로 외국으로 떠났던 사람들이 돌아와서 그들을 받아줄 수 없는 사회에 절망하게 되는 상황을 날카롭게 지적했다. [치숙]과 [소망]은 이러한 지식인들이 겪는 정신적 위기에 관련한 작품이다. [두 순정], [쑥국새], [용동댁의 경우]는 농촌소설 유형의 작품으로 사회가 병들면서 함께 병들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집안에서 맺어준 결혼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자신을 거울삼아 여성의 운명에 깊이 숙고한 흔적을 볼 수 있다.
[순공 있는 일요일]과 [민족의 죄인]은 채만식의 대일협력 행위와 관련되어 있다. 자신의 대일협력 행위를 해방 후에 어떤 형태로든 반성하고자 했던 작가의 치열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채만식은 자신이 삶에서 경험한 주관적인 것들을 객관화시켜 냉철하게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미스터 방]과 [논 이야기]는 해방 이후의 현실을 풍자적으로 다룬 작품들이다. 한편으로는 자기 자신을 비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시대의 변화를 자신의 이기적 욕망을 위해 사용하는 세태를 비판하고 있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