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 파이 이야기> “내 이름은 파이입니다. π는 3.14……”
영원히 3.15에 다가가는 원주율처럼 끝없는 감동과 희망,
황홀한 상상력을 선사하는 이 시대 최고의 소설을 뛰어난 시각언어로 다시 읽는다!
스코틀랜드의 출판사와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미디어 매체에서 공동주관한 2005년 국제 공모전 ‘일러스트레이트 파이 이야기’에 접수된 그림들은 대부분 하늘에서 파이와 호랑이를 바라보는 것들이 많았다. 저자인 얀 마텔은 독자들이 ‘내가 상상했던 파이처럼 생겼다’ 혹은 ‘그렇지 않다’로 반응하기를 원치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철저하게 파이의 시선으로 일관한 크로아티아의 화가 토미슬라프 토르야나크의 그림에 남다른 애정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토미슬라프의 그림은 이 소설이 이야기하는 삶과 죽음, 신, 인간의 의지, 두려움과 희망에 대한 메시지를 소용돌이치는 듯한 터치와 원색의 색상 조합으로 힘차고 강인하게 형상화해내고 있다. 얀 마텔은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그림을 두고 말하길 “강렬한 색채와 뛰어난 화면 구성, 소용돌이치는 듯한 그림, 그리고 모든 것을 파이의 시선으로 바라보았다는 점이 아주 마음에 들었다. 사실 이 소설은 완전한 일인칭 시점이고, 나는 소설에서 한 번도 파이에 대해 묘사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덧붙여 얀 마텔은 파이가 호랑이에게 상어를 던지는 장면, 굶주림에 시달리던 파이의 눈앞에 신기루처럼 떠오른 음식들을 묘사한 그림이 가장 마음에 든다고 말했고, 토미슬라프는 마지막 3부에 나오는 일본 조사관을 묘사한 그림이 개인적으로 가장 흡족하다고 말했다.
“나는 기본적으로 일인칭, 즉 파이의 시선에서 접근하였습니다. 파이가 무엇을 바라보는가는 그가 무엇을 느끼는가와 관련이 있으며, 그것을 색깔, 관점, 상징, 손의 움직임 등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그것이 리얼리티를 부여했다고 생각합니다.”――토미슬라프 토르야나크
『파이 이야기』의 감동과 전율, 영상언어로 다시 재현되다!
이 시대가 낳은 모험소설의 고전이자 황홀하고, 멋지고, 쾌활한 상상력으로 가득한 이야기, 새로운 삶에 대한 기대로 한껏 부풀어 있다가 사랑하는 가족을 한순간에 잃어버리고, 언제 자기를 잡아먹을지 모르는 호랑이와 공존 아닌 공존을 하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았던 한 소년의 이야기는 2013년 이안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어 원작의 뛰어난 상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