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의 책> 한국문학에 전례 없던 새로운 리얼리즘 소설의 탄생!
지구 종말의 묵시록일까? 음모 서사일까?
시간여행 SF일까? 편집증 서사일까? 아님 해석망상?
2011년 등단한 이래, 기이한 상상력으로 똘똘 뭉친 독특한 단편들을 발표하며 ‘대체 불가한 이야기꾼’으로 주목받은 소설가 김희선의 첫 장편소설 『무한의 책』이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2015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월간 『현대문학』을 통해 연재된 이 작품은 연재 기간 내내 독특한 세계관과 순문학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소재로 마니아들의 관심을 받았다. 특히나 원고지 2200매라는 긴 호흡의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한 부분 느슨함 없는 촘촘한 구성과 디테일로 독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용인 에버랜드의 거대한 플라스틱 나무 밑에서 갑자기 솟아난 미아 소년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는 이 작품은 과거에서 온 정체불명의 소년과 세상을 종말로부터 구할 임무를 받고 시공간을 넘나들며 고군분투하는 청년 스티브, 두 사람 사이의 미스터리한 관계를 평행우주 이론과 시간여행 대서사를 동원해 시공간을 넘나들며 펼쳐낸다. 이 작품은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끝에 결국은 현실로 이동해서 세상을 구원해내는 인물들을 등장시킴으로써 작가 김희선만의 ‘새로운 리얼리즘 소설’을 탄생시켰다.
문단에 나타난 “무서운 신인”이라는 수식어에 값하는, 이미 전작인 소설집 『라면의 황제』에서 과거와 미래, 지역과 세계, 외계인과 소시민 등의 혼종적인 소재를 자유자재로 다루며 이색적이고 개성 넘치는 소설 속 세계관을 각인시킨 바 있는 김희선은 그만이 가진 독특한, 확장된 세계관과 심도 깊은 이야기를 이 한 권의 장편소설에 아낌없이 다 쏟아내고 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