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단화 牧丹花 (원문)> 『목단화(牧丹花)』는 김교제의 한국개화문학 계몽기 신소설로 1911년 ‘광학서포’에서 발간한 초판 딱지본으로 그의 여러 작품 중에서 최초 처녀작으로 시도한 작품이다.
김교제의 작품은 그리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으면서 생애에 관해서도 물론 알려진 바가 많지않 다. 그는 신소설의 대표작가로 충분히 평가받는 인물로 당시 신소설의 기조로 잘 알려진 이인직 등과 동조를 포함하고 있는 작품들에서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제 막 태동하기 시작한 우리 소설의 근간 속에서 근대적인 개혁의 영향들은 낡은 체제를 타파하고 사회 전반에 대한 가족제도와 관습까지도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나타난 모든 것들은 인식의 차이를 새롭게 가져오도록 영향을 받게 되었다. 물론 일제 강점기 속에서 상실된 사회적으로나 문화적 개화의 바람은 불가피하게도 외래의 문화를 답습하는 것으로 귀추 될 수밖에 없었으며 중국을 배척하거나 친일의식의 자취를 감출 수는 없었다. 이로써 시기적으로 다수 작품들은 과거의 작품을 모의하거나 외국작품을 번안한 결과로 고취하는 작품들이 속속 등장했다.
전반적인 작품은 주로 사회 풍조에 대한 인습타파, 민중의식의 새로운 의식 고양, 남녀의 결혼관 등 주제의식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 작품은 작가의 근대 초기 신소설 중에 하나로 초판 원본 그대로 영인하여 처음으로 그대로 발간하게 되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