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 다이닝> “이 새벽, 잠에서 깨어 저는 당신을 생각합니다.
새벽의 부엌은 어둡고 조용합니다.
형광등을 켜고 저는 국을 끓일 준비를 합니다.”
젊은 작가들의 시선으로 포착한
일곱 가지 음식 속 이야기들
일곱 편의 코스를 여는 첫 작품 최은영의 〈선택〉은 새벽녘 일어나 미역국을 끓이는 한 수녀의 독백으로 시작된다. 함께 수녀로서의 꿈을 키워오다 비정규직 열차 승무원으로 취직한 ‘언니’가 사측의 횡포로 긴 싸움을 시작하게 되고, 그런 언니를 먼발치에서 지켜볼 수밖에 없는 ‘나’의 답답함과 안타까움이 미역국 한 그릇에 담긴다.
황시운의 <매듭>은 불의의 사고로 사지를 움직일 수 없게 된 남자와 그런 그의 옆을 지키는 여자의 위태로운 나날들을 그린다.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몸으로 하루하루 고통스러워하는 남자 ‘윤’과 절망스러운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뒤틀린 욕망을 분출하는 여자 ‘나’의 이야기가 끓어오르는 탕 속의 낙지처럼 격정적으로 읽힌다.
윤이형의 〈승혜와 미오〉는 싱글맘 가정에서 베이비시터로 일하는 ‘승혜’와 그의 연인 ‘미오’의 복잡 미묘한 사연을 담은 작품이다. 작가는 승혜가 왜 밀푀유나베를 “최소한 세 사람용”으로 생각했는지, 왜 요리하기 주저했는지에 대해 톺아간다. 지금 여기에서 평범한 커플로 살아가고자 하는 두 동성 연인이 처한 겹겹의 상황을 차분한 어조로 서술한다.
각양각색의 사연을 품고 외딴섬에 하나뿐인 카페의 문을 두드린 섬사람들의 이야기가 이은선의 소설 〈커피 다비드〉에 담겼다. 아침부터 밤까지, 커피 한 잔 속에 맴돌다 바닷바람을 만나 더욱 짙어진 사연들의 풍미가 향기롭게 읽힌다.
근미래를 배경으로 독특한 설정이 돋보이는 김이환의 〈배웅〉은 죽기 전, 도시로 기억을 저장하러 떠나는 ‘요한’과 그를 바래다주러 같이 길을 나선 ‘베드로’의 여정을 그린다. 도시에서 자라지 못한 ‘베드로’가 마트를 신기해하고 유통 기한에 관해 묻는 장면 등에서 잔잔한 재미가 배어난다.
웃통을 벗고 요리 중인 ‘가빈’과 그것을 폰카메라로 찍어 페이스북에 올리려는 ‘나’, 한적한 별장으로 그들이 모인 까닭은 대체 무엇일까? <병맛 파스타>라는 장난기 넘치는 제목처럼 작가 노희준은 발칙한 두 남자의 하룻밤 동상이몽을 실감나게 묘사한다. 때로는 닭도리탕 국물처럼 맵싸하게, 스파게티 면발처럼 막힘없이 술술 오가는 두 남자의 대화가 시선을 뗄 수 없게 만든다.
코스 마지막에 놓이게 된 서유미의 〈에트르〉는 새해맞이용 케이크에 관한 ‘나’의 고민으로 시작된다. 집주인의 월세와 보증금 인상 요구 앞에서 나의 태평했던 고민은 이내 사치가 되고 만다. 한 해의 마지막 날 12월 31일, 한 손에 케이크를 쥔 채 일생 최대의 사치를 저지르려 하는 ‘나’의 생각과 행동이 깊은 공감을 자아낸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