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기, 홍염, 박돌의 죽음, 고국, 기아와 살육, 큰물 진 뒤

탈출기, 홍염, 박돌의 죽음, 고국, 기아와 살육, 큰물 진 뒤

<탈출기, 홍염, 박돌의 죽음, 고국, 기아와 살육, 큰물 진 뒤>

* 한국인의 가슴속에 영원히 새겨질 고전들!

달시루 한국근대문학선 07-최서해
최서해는 1920년대 소위 신경향파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그는 자신이 체험한 궁핍한 현실을 작품 속에 그리고자 했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개 빈민들이며 현실에 저항하는 존재들이다. 그러나 이들의 개인적 저항뿐만 아니라 식민지 시절의 모순과 갈등까지도 구체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그의 작품 가운데 널리 알려진 고전들인 〈탈출기〉, 〈홍염(紅焰)〉, 〈박돌의 죽음〉 고국(故國)〉, 〈기아(飢餓)와 살육(殺戮)〉, 〈큰물 진 뒤〉를 묶어서 한 권의 책에 담았다.
작품의 최초 발표본과 작가 최후의 판본 등을 참고하여 원고의 정확성에 만전을 기하고자 했다. 또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낱말이나 구절 뒤에는 따로 풀이를 넣었다.

* 수록 작품들 소개

〈탈출기〉는 작가가 빈민으로 떠돌던 간도에서의 체험을 형상화한 작품으로 자전적 요소가 많이 들어 있다. 살 길을 찾아 간도로 이주한 젊은 부부와 노모의 비참한 삶을 실감 나게 그려 신경향파 문학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홍염(紅焰)〉은 간도로 이주한 조선인 빈농들의 비참한 생활을 묘사한 작품이다. 특히 중국인 지주의 폭압에 시달리는 조선인 소작인들의 고통을 아주 사실적으로 드러냈다. 빚 때문에 중국인 지주에게 딸을 빼앗긴 문 서방이 딸을 되찾기 위해 애쓰는 장면은 참으로 눈물겹다.

〈박돌의 죽음〉도 작가의 체험이 들어간 작품으로, 부유하게 사는 자들의 비인간적 모습과 빈궁하게 사는 자들의 비참한 모습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했다. 돈이 없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죽은 박돌과 그의 어머니의 비극적 삶은 당대 하층민이라면 누구나 겪고 있던 현실이었다.

〈고국(故國)〉은 간도 등지를 떠돌며 밑바닥 생활을 했던 작가의 자전적 요소가 담긴 작품으로 실질적 데뷔작이다. 주인공 나운심은 유랑 생활 끝에 고국으로 돌아오지만 스스로를 패배자로 간주한다. 큰 뜻을 품고 고국을 떠났던 그가 도배장이가 된 것은 시대의 한계에 부닥쳐 타협했기 때문이다.

〈기아(飢餓)와 살육(殺戮)〉은 〈탈출기(脫出記)〉, 〈홍염(紅焰)〉 등과 더불어 작가의 신경향파 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주인공 경수는 중학교를 졸업한 지식인이었지만 가족을 부양하며 극도로 궁핍한 삶을 이어간다. 그러나 벗어날 수 없는 참혹한 현실에 가족을 몰살하고 모르는 사람들을 살육하는 등 자기 파괴적 행동을 자행하고야 만다.

〈큰물 진 뒤〉는 선량함을 잃지 않고 열심히 살아왔지만 점점 더 불행해지는 현실에 분개해 강도로 돌변하는 인물을 그린 작품이다. 주인공 윤호는 홍수로 자식을 잃고 가난한 살림에 병든 아내를 치료조차 못하자 가혹한 현실에 눈뜨게 된다. 그는 첩을 끼며 부유하게 사는 이 주사를 상대로 강도질하기에 이른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