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 땡볕, 금 따는 콩밭

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 땡볕, 금 따는 콩밭

<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 땡볕, 금 따는 콩밭>

* 한국인의 가슴속에 영원히 새겨질 고전들!

달시루 한국근대문학선 01 김유정
김유정은 1930년대 대표적인 단편소설 작가로, 농촌의 곤궁한 생활과 그 속에서의 정취를 토속적이고 해학적인 필치로 실감 나게 그려냈다. 그가 남긴 30여 편의 소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고전들인 〈봄봄〉, 〈동백꽃〉, 〈소낙비〉, 〈만무방〉, 〈땡볕〉, 〈금(金) 따는 콩밭〉을 1권으로 묶었다.
작품의 최초 발표본과 작가 최후의 판본 등을 참고하여 원고의 정확성에 만전을 기하고자 하였다. 또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낱말이나 구절 뒤에는 따로 풀이를 넣어 읽어 내려가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다.

* 수록 작품들 소개
〈봄봄〉은 새경을 아끼려고 데릴사위를 들여서 머슴처럼 부려먹는 장인과 빨리 혼인을 치르고 싶어 하는 사위와의 갈등을 해학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동백꽃〉은 마름집 소녀와 소작농 소년 사이의 풋풋한 사랑과 다툼을 정감 있게 보여준다.

〈소낙비〉는 가난으로 인해 고향을 등지고 세상을 떠돌 수밖에 없는 농민의 비참한 현실을 드러내 작품이다. 작중 인물들은 본디 선량한 사람들이지만 궁핍에 시달려 도덕을 쉽게 버리는 인물로 전락하고 만다. 1930년대 농촌 현실을 실감나게 그린 작품이다.

〈만무방〉은 뜨내기 소작농인 두 형제의 삶을 통해, 1930년대 식민지 치하 농촌이 처한 모순된 상황과 농민의 궁핍한 생활을 탁월하게 형상화한 작품이다.

〈땡볕〉은 빈곤 때문에 도시로 떠나온 농민 부부의 절망적 삶을 그린 작품이다. 병든 아내를 병원에 데려가면 병도 고치고 월급도 받을 수 있다는 말을 믿을 만큼 남편은 세상 물정에 무지한 사람이다. 그러나 가진 것이 없어도 서로를 걱정하는 부부의 모습은 아주 인간적이다.

〈금(金) 따는 콩밭〉은 일확천금을 꿈꾸는 인간의 탐욕과 그 허망한 결말을 해학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그러나 주인공 부부가 일확천금을 꿈꾸게 된 데에는 1930년대 농촌 사회의 궁핍한 현실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이 작품은 잘 보여준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