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 선생> 로베르토 볼라뇨 소설. 1981~82년에 쓰인 볼라뇨의 초기 작품으로 1994년 첫 출간 당시 스페인의 펠릭스 우라바옌 중편 소설상을 수상했다. 전체주의 혹은 사회 전체의 그늘 아래 개인의 고독감과 존재 증명에의 욕구가 강하게 드러나는 작품으로, 이야기 속으로 걷잡을 수 없이 빠져들게 만드는 치밀한 내면 묘사가 압권이다.
단순한 이야기 구조 안에 '악(惡), 목소리들, 꿈과 현실 혹은 사실과 허구의 혼재(混在)' 등 볼라뇨가 창조해 온 세계의 근간이 되는 모든 것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전쟁과 전체주의를 매개로 인간의 편집증과 광기를 이끌어 냈던 볼라뇨의 또 다른 작품 <제3제국>과 그 줄기를 같이하기도 한다. <제3제국>이 전쟁 게임을 소재로 전체주의에 대해 다소 직선적이고 순차적인 접근을 했다면, <팽 선생>은 최면과 꿈, 미로, 미행 등 미스터리적 요소를 통해 우회적이고도 교묘한 방법으로 접근한다.
2010년 미국에서 출간되었을 당시 「뉴욕타임스」에서는 이 작품에 대해 '볼라뇨는 환상이 현실보다 더 현실적일 수 있다고 믿는다. 그는 우리로 하여금 그 이면에 무엇이 감춰져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면서도 그 어둠의 크기를 느낄 수 있게 한다'고 전했는데, 이는 볼라뇨가 꿈과 현실이 모호하게 뒤섞인 상황을 내세워 전하려 했던 그 크기를 짐작하는 것조차 어려운 <팽 선생> 속 악의 존재를 잘 설명해 준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