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말년 불가살이전 (우리 괴수 소설의 효시)

송도말년 불가살이전 (우리 괴수 소설의 효시)

<송도말년 불가살이전 (우리 괴수 소설의 효시)> - 국내 최초로 괴수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국문 고전소설
- 조선 건국 이야기를 배경으로 시공을 초월하는 장대한 스케일의 역사 팩션이 휘몰아친다!

1921년에 첫 발간된 「송도말년 불가살이전」은 '허주자'라는 필명으로 작가 현병주가 한글로 쓴 고전소설이다. 현병주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은 조선 시대 작가인데, 일제강점기에 자신의 회사에서 출판과 창작 활동을 겸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소설은 대부분 역사와 설화에 기반을 둔 것이 특징이다.

이 소설은 지금도 상상하기 힘든 가공의 생명체 '불가살이'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기에 콘텐츠 소스가 절실한 오늘날에 주목받을 만하다. 불가살이는 우리 구전 설화에 나오는 쇠붙이 먹는 괴물이 창작 모델이다. '불가사리 쇠 집어먹듯 한다', '송도 말년의 불가사리' 등의 옛 속담이 있는 것으로 보아 우리에게 낯선 존재는 아니다.

고전 연구가들은 불가살이 설화가 3세기 중국 불전 「구잡비유경」 속 설화 ‘화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국고의 바늘만 먹다 불덩이가 된 화모와 쇠붙이를 탐식하다 종이 된 불가살이가 쇠를 먹는다는 공통된 모티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화모 이야기가 중국은 물론 우리나라, 일본 등에 전파되어 지역마다 고유한 설화로 발전됐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고소설이 사라지고 신소설이 각광받고 있을 무렵, 고전 색채가 짙은 역사를 배경으로 지금의 공상 과학 영화에 나올 법한 괴수를 등장시켜 독창적인 이야기로 재구성한 부분은 국내 팩션 장르의 선구적 작품이라 여겨진다. 그야말로 '우리 괴수 소설의 효시'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