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별산수록 천줄읽기>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이 책은 김동욱 편, ≪나손본 필사본 고소설 자료 총서≫ 75권(보경문화사, 1994)에 영인된 김동욱 소장의 국문필사본 <토별산슈록>을 원전으로 하였다. 이 작품은 ≪토끼전≫ 이본의 하나로 현대역으로는 처음 출간되는 것이다.
이 책은 <토별산수록>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다만, 지나치게 장황하게 부연된 몇몇 부분은 구절을 약간 생략하였다.
≪토끼전≫은 <구토지설>이라는 짧은 이야기에 근원을 두고 판소리 혹은 소설로 확장된, 조선 후기 판소리계 소설이면서 우화소설이다.
백제의 원수를 갚기 위해 고구려에 청병을 하러 갔던 김춘추는 보장왕으로부터 마목령과 죽령을 돌려 달라는 무리한 요구를 받게 된다. 이에 김춘추는 신하가 국가의 토지를 마음대로 할 수 없다고 답하였다가 옥에 갇혀 목숨이 위태로운 지경에 이른다. 이때 선도해라는 고구려의 대신이 김춘추를 찾아와 해준 이야기가 바로 <구토지설>이다.
이 <구토지설>은 석가의 전생 수행담인 인도의 본생설화나 중국의 불전설화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구토지설>은 이들 설화들과 동궤의 것이면서도 많은 차이를 지니고 있는데, 우선 석가모니 본생설화는 현재 이야기와 과거의 이야기, 그리고 현재 이야기의 인물과 과거 이야기의 주인공을 연결하는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한역 경전 또한 동일한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이러한 종교설화로서의 형식은 우리나라에 들어와 민간설화화하면서 완전히 탈색되어 과거의 이야기만 남아 있다. 이처럼 종교성이 탈각되고, 토끼와 별주부의 지략 대결이 중심이 된 한국화한 설화로 자리 잡으면서 <구토지설>은 수궁가의 시초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여기에 나이 다툼 설화, 토끼의 위기 극복 설화 등 다양한 설화를 수용하면서 부연, 변용, 창작 과정을 거쳐 ≪수궁가≫ 혹은 ≪토끼전≫이라는 판소리, 소설 작품으로 발전하였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