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덴 란다이> ≪라덴 란다이≫는 제목이나 형식만 보면 공연 콘(라컨이라고도 하는 태국의 전통 무용극)을 위한 봇라컨(라컨을 위한 대본)의 구색을 모두 갖추었으나, 내용을 보면 공연보다는 읽고 즐기는 것에 더 중점을 둔 작품이다.
이 작품의 창작 배경에 대한 몇 가지 사건이 있는데, 그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라마 3세 당시 떠돌이 거지 한 사람이 인도에서 태국으로 와서 인도인들이 몰려 사는 방콕 힌두 신전 앞, 그네 거리(싸오 칭차)에 살고 있었는데, 그 이름은 ‘란다이’였으며 해금을 들고 다니는 악사 거지였다고 한다. 그는 전후가 없는 태국 노래 한두 마디를 팔며 종일 저잣거리를 다녀 그 근처 사람들 사이에서는 잘 알려진 인물이었다. 그 거리에는 그 외에 쁘라두라는 이름을 가진 인도인 한 사람이 살았다. 그는 클렁럿 운하 근처에 있는 성문 가까이에 외양간을 짓고 젖소를 쳤는데, 빳따니에서 온 전쟁 포로 쁘라대를 노예시장에서 아내로 사왔다. 어느 날 쁘라두가 소를 몰고 성 밖으로 나간 사이에 란다이는 쁘라대를 유혹하는 데 성공했고, 이 사실을 안 쁘라두가 란다이와 크게 다투는 일이 있었다. 프라마하몬뜨리는 이 이야기를 듣고 실명으로 이 작품을 썼다고 전해진다.
≪라덴 란다이≫의 ‘라덴’은 자바어로 ‘왕자’를 뜻하나 실제로 그는 왕자가 아니라 거지 악사다. 그러나 말이 악사이지, 란다이는 인도에서 온 떠돌이 걸인으로, 태국어도 어눌하고 태국의 서사문학인 ≪쑤완나홍≫의 구걸 대목 한두 구절을 외워 해금을 켜면서 구걸하는 인물이다. 작품 제목에서부터 볼 수 있듯이 이 작품은 비정상, 비상식의 과장된 인물들이 작품 세계에서 활동하며 웃음을 자아낸다. 프라마하몬뜨리는 이러한 풍자를 통해서 당시 사회의 모습과 가치관을 비판하고 지배 계층의 비윤리적인 행위를 나무라고 있다.
≪라덴 란다이≫가 패러디한 작품 <이나오>도, 가난한 힌두교도가 저잣거리에서 싸운 이야기도, 그리고 또 다른 창작 배경인 짜오쩜임의 사건도 모두 두 명의 남성과 한 여성 사이의 치정에 얽힌 이야기라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야기들은 결혼을 했거나 결혼을 약속한 남성이 있는 한 여성을 중간에 두고 그 여성의 남편 또는 약혼자와 그 여성을 사랑하는 한 남성 간의 다툼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라덴 란다이≫의 등장인물 란다이, 쁘라두, 쁘라대는 각각 <이나오>의 라덴 이나오, 라뚜 쩌라까, 라덴 부싸바에 비유되고 있으며, 란다이는 <이나오>에서 아싼대와 가문의 후손인 이나오와 부싸바가 결혼했듯이 쁘라대가 자신과 결혼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한다. 뿐만 아니라 란다이의 거동에 대해 왕실 용어를 사용하면서 거지를 억지로 왕자의 신분으로 상승시키는 괴상하고 어처구니없는 언어와 문장으로 표현함으로써 실소를 금치 못하게 했으며, 그 속에서 독자는 해학과 풍자, 아이러니를 만끽한다. 이 작품은 “의지할 곳이 하나 없는 가난한 천애의 란다이 왕자는”으로 시작한다. 왕자의 신분은 주변에 늘 사람이 많고 호의호식을 하는 인물인데 란다이에 대한 형용이 ‘가난’, ‘천애’, ‘의지할 곳이 없는’ 등으로 되어 있다. 첫 줄뿐 아니라 그 다음 줄 역시 “일인 왕국의 왕자님은 떠돌이라네”로 란다이는 왕국의 왕이되 혼자 백성도 되고 왕도 되는 왕국의 왕이며, 왕이어서 신하나 아랫사람들의 섬김을 받는 것이 아니라 사방을 돌아다니며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구걸 행각을 한다. 왕실용어로 ‘왕이 나라를 다스린다’는 말과 ‘구걸한다’는 말을 한 문장에 사용하고 구걸하러 다니는 저잣거리가 인도에서 이주한 가난한 캑(노예)이 몰려 사는 거리임을 말함으로써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비꼬고 있다. 작가는 작품의 전편에서 이러한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