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어 초판본> 1930년대 들어 일본은 침략 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후방 기지가 되어야 하는 조선의 치안을 강화한다. 그리고 중일전쟁이 전면전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1930년대 후반에는 조선을 병참기지화하고, 1940년대에 이르면 완전히 전시체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은 상황이 구체적으로 시작되던 1934년 채만식은 <레디메이드 인생>을 발표한 뒤 2년여 동안 창작 활동을 중단하고 자신의 문학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한다. 그다음 발표되기 시작한 소설에는 알레고리 구조와 분신의 기법 등이 새롭게 나타나 모든 작품을 관통하는 지배적인 양상이 된다. 알레고리와 분신의 기법을 함께 쓰는 방식으로 인해 그의 소설은 독특한 구조를 갖게 되었지만,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해 독자들은 작품의 진실을 파악하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성향은 ≪냉동어(冷凍魚)≫도 예외가 아니었다.
≪냉동어≫는 ≪인문평론≫에 1940년 4월부터 5까지 연재되었는데, 5월호에는 4월호에는 없던 “…바다를 향수(鄕愁)하고, 딸의 이름 징상(澄祥)을 얻다”란 에피그램이 새로 붙었다. ‘냉동어’는 일제 말의 질곡 속에서 행동의 자유를 잃고 시체가 되어가는 지식인, 또는 조선인을 상징한다. 그가 조선의 상태를 ‘냉동어’로 표현한 것은 현실의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한, 균형에의 의욕을 실천에 옮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표면적으로 남녀의 애정 도피 행각과 그 실패를 그리고 있는 듯이 보인다. 스미꼬라는 일본 여자를 소개받은 주인공 문대영이 그 여자와 가까워져 가족을 버리고 동경으로 도피할 것을 약속했으나, 결국에는 문대영 앞으로 편지만을 남겨둔 채 스미꼬만 대동아공영의 꿈이 무르익는 중국 대륙으로 떠난다. 그러나 이 작품을 통해 채만식이 진정으로 이야기하고자 했던 바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작품의 단편적 사건과 전체적 형상, 인물의 상징성 등 부분과 전체를 유기적으로 파악한다.
채만식 자신도 <문학과 해석>이라는 글에서 언급했듯이, 분신의 기법을 이용해 알레고리 구조를 만들고 있는 작품들은 소설이 발표되던 당시부터 왜곡된 해석으로 인해 고난을 겪었다. ‘맑은 절개’를 지닌 신념의 문학이 ‘변절의 문학, 친일의 문학’으로 곡해된 것이다. 역사적·문학사적 평가는 작품 하나하나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바탕을 두고 바로잡아져야 할 것이다. ≪냉동어≫는 그 작업을 실험하는 데 가장 적합한 작품의 하나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