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의 딸들

불의 딸들

<불의 딸들> 네르발의 작품 중 가장 아름답고 서정적인 ≪불의 딸들≫ 전체를 번역·소개했다. 이 작품에는 <알렉상드르 뒤마에게>, <앙젤리크>, <실비, 발루아의 추억>과 그 부록으로 붙어 있는 <발루아 지방의 민요와 전설>, <제미>, <옥타비>, <이시스>, <코리야>, <에밀리>, <몽상의 시> 등 10개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불의 딸들≫에는 ‘중편소설’이란 부제가 붙어 있다. 그러나 이 작품집에는 <앙젤리크>와 같은 서간체 탐방기가 있는가 하면, <코리야>와 같은 대화체의 드라마와 12편의 소네로 이루어진 <몽상의 시>도 포함되어 있다. <이시스>는 독일 고고학자의 연구서를 네르발 자신의 취향대로 개작하여 이시스 여신의 제례와 상징성에 초점을 맞추어 재편한 작품이다. <제미>는 오스트리아 작가 찰스 실즈필드의 중편소설을 번안한 것이다. 그리고 <에밀리>는 1839년 ≪르 메사제≫에 <빗슈 요새, 프랑스 대혁명의 추억>이라는 제명으로 발표한 중편소설이다. 이 작품은 이름 없는 작가 오귀스트 마케와 합작한 작품으로 네르발이 아이디어를 제공한 것 이외에는 역할이 거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시스>와 <제미>, <에밀리>는 순수하게 네르발의 작품이라고 볼 수는 없으나, 그렇다고 네르발의 정신적 계통을 벗어난 작품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옥타비>, <이시스>, <코리야>에서는 이탈리아 여행의 추억과 관련된 화산 폭발, 이교(異敎), 동방의 신비주의와 제니 콜롱에 대한 사랑 같은 주제가 연결되어 있다. 네르발은 <제미>와 <에밀리>라는 두 편의 중편소설을 삽입함으로써 단권으로 부피를 채우고 가장 깊은 그의 신화의 구조, 그의 꿈의 흐름을 따르고 있다. 이 불꽃은 마지막 <몽상의 시>에서 연금술적 개화에 이르기까지 점증한다. 전체 구조에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이 작품은 19세기 위대한 작품 중 하나에 속한다. 그중에서도 <실비>와 <몽상의 시>는 최고의 작품이다. <앙젤리크>에서 <실비>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이시스>에서 <옥타비>에 이르기까지 네르발 신화의 점증하는 발전 단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몽상의 시>에서 그 결정적 단계에 다다른다.
<몽상의 시>에 포함된 시편들의 창작 시기는 둘로 나눌 수 있다. 1843∼1845년 사이에 창작된 작품은 동방과 이탈리아 여행 경험을 반영한 신비주의에 입문을, 1852∼1854년에 쓴 작품에서는 추억과 시인 자신의 존재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래서 이 시편들은 시간의 극복을 위한 노력의 승리이며, 이 시적 승리의 순간은 <아르테미스>에서 말하고 있는 “유일한 순간”일 것이다. 그의 작품에는 18세기의 유럽의 내면에 흐르던 온갖 기원의 신비주의가 있고, 괴테의 ≪파우스트≫, 실러의 ≪군도≫, 호프만의 ≪악마의 정수≫, 노발리스의 ≪밤의 찬가≫, 하이네의 ≪아타 트롤≫ 같은 독일의 낭만주의가 배어 있고, 보들레르와 파르나스 시파와 상징주의의 싹이 있으며,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축소판이 있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