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리와 메즈눈

레일리와 메즈눈

<레일리와 메즈눈> 아제르바이잔의 위대한 문인, 니자미 간자비
12세기 아제르바이잔 간자에서 태어난 니자미 간자비는 아제르바이잔 문명을 대표하는 위대한 문인이다. 그는 이슬람 문학에서 구전되어 온 이야기를 정리해 서사시로 만드는 한편, 처음으로 애정 서사시를 지어 교훈시나 영웅 서사시에 집중되었던 아랍 문학의 전통을 사랑 이야기로 전환했다. 그의 작품은 당대는 물론, 후대의 문학, 음악, 철학, 미술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깊은 영향을 끼쳤으며 이들의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셰익스피어를 앞선 비운의 연인들
그 자신이 여종으로 하사받은 여인 아파크와 운명적인 사랑을 한 니자미는 ≪호스로와 시린≫을 비롯한 훌륭한 애정 서사시를 여럿 창작했다. 그중 ≪레일리와 메즈눈≫은 반목하는 가문 때문에 서로 맺어지지 못하고 비극적인 운명을 맞는 게이스와 레일리라는 두 연인에 대해 노래한다. ‘메즈눈’은 ‘미친 사람’이라는 뜻으로, 레일리에 대한 사랑으로 미쳐 버린 게이스의 별명이다. 다른 부족 족장의 딸을 사랑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의 힘이다. 하지만 그 어려움을 무릅쓰고 개인의 사랑을 관철하고자 하는 것은 사람의 힘이다. 니자미는 사랑이야말로 인간 본성이며 운명에 도전하는 힘이라는 것을 보여 주고자 했다.

여성의 해방과 자연권을 주장하다
레일리는 부유한 족장의 딸로 게이스를 사랑하게 되지만, 이슬람의 계율과 율법이 지배하던 당시 중동에서 여성은 ‘교환 가능한’ 재산일 뿐, 여성의 감정이나 자유는 허용되지 않았다. 레일리의 사랑은 용납되지 않지만, 그녀는 결혼을 강제당해서도 자신의 사랑을 포기하기를 거부한다. 가문과 남편의 단순한 소유물이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개성과 사랑을 꿋꿋이 지켜 나가며 운명에 저항하는 레일리는 당시로서는 놀라운 여성형이라 할 수 있다. 니자미는 그녀를 통해 인간의 마음이 갈망하는 순수함, 무조건적인 사랑을 노래했다. 특히 여성의 아름다움과 지혜를 찬미하는 한편, 봉건 사회의 질곡으로부터 여성의 해방과 자연권을 주장했던 것이다.

아제르바이잔 출신의 라민 아바소프와 호서대 한국어문화학부 김성룡 교수는 아제르바이잔 시인인 사마드 부르군(Samad Vurgun)의 현대 아제르바이잔어본을 저본으로 삼고 루스탐 아리예프(Rustam Aliyev)의 러시아어본과 브루노 카시르(Bruno Cassier)의 영어본을 참조해 가장 원문에 충실하면서도 우리말로 읽기 쉬운 한국어본을 완성했다. 당시의 아랍 문화에 대한 상세한 주석과 해설은 니자미의 섬세한 묘사와 함께 신비롭고도 아름다운 중세 아라비아를 무대로 한 사랑의 세계로 독자들을 안내할 것이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