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집

상시집

<개정판 | 상시집> 후스가 지은 ≪상시집≫은 중국 최초의 현대시집으로 꼽힌다. 5·4운동 이후 새로운 중국을 꿈꾸던 당대 지식인들의 노력이 백화시라는 형식으로 승화된 것이다. 본문과 함께 실린 한문을 통해, 기존의 한시와는 형식 면에서 크게 달라졌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내용 면에서는 한시의 전통적인 정서를 계승하면서도, 급변하던 시대상,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던 지식인들의 교류, 그들의 이상과 처음 길을 걷는 이로서의 고독함 등을 전한다.

상시(嘗試), 새로운 시 형식에 대한 도전
후스는 중국의 신문학운동을 주도했던 시인으로, 백화문학의 이론을 세우고, 그에 따라 창작하고, 외국 문학을 번역하는 등 중국 문학의 근대화에 많은 공헌을 남겼다. 그가 시집의 제목을 ≪상시집≫이라고 했던 것은 자서(自序)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중국 남송(南宋)의 시인 육유(陸游)가 했던 말의 의미를 뒤집어서 취한 것이다. 즉, 육유가 ≪검남시고(劍南詩稿)≫ 제3권 마지막 시에서 “시험 삼아 해보다가 성공한 적은 자고로 없었다(嘗試成功自古無)”라고 한 시구를 보고 후스는 그 말의 이치가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자고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시험 삼아 해보던 중에 있었다”라고 의미를 바꾸어, 자신의 ‘시험’성을 강조하기 위해 ≪상시집(嘗試集)≫이라는 명칭을 붙이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상시집≫에 실린 시들은, 주로 시 형식 면에서 ‘상시(嘗試)’의 발전 과정을 단계별로 보여 주고 있다. 즉 후스가 “시체(詩體) 대해방”이라는 창작 실천을 ‘개량’ 단계에서 ‘혁명’ 단계로 발전시켜 가는 과정을 뚜렷하게 보여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시들은 대부분 시형(詩形)과 운율 면에서 구의 장단에 관계없이, 평측에 구속됨이 없이 자연스러운 음절과 운(韻)을 운용했다.

시대정신을 충실하게 표현한 백화문학
≪상시집≫의 작품들은 과학·민주를 주창하고 제국주의와 봉건주의를 반대하는 신문화운동과 문학혁명의 기본 목적과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개별 작품들은 봉건·전제를 반대하고 민주와 자유를 동경하며, 시국을 비판하거나(<“권위”>·<어려움을 당한 별>·<돌>·<쌍십절 귀신의 노래(雙十節的鬼歌)>·<고인(死者)>), 나라를 위해 몸 바친 혁명 열사를 기리고(<네 열사 무덤 위 글자 없는 비석의 노래(四烈士塚上的沒字碑歌)>·<황커창 선생을 애도하며>), 봉건적인 관습의 폐해를 비판하며(<공자(孔丘)>·<예(禮)!>·<나의 아들(我的兒子)>), 자산계급의 개성 해방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표현(<산에 오르다>·<비둘기>)하고 있다. 또한 노동 계급에 대한 연대감을 표현하고(<인력거꾼>, <평민학교의 교가(平民學校校歌)>), 위대한 중국을 위해서 신문학을 추구하자는 희망과 포부, 그리고 애국주의 감정 등을 내세운다(<문학 편>·<심원춘>(서시)·<상시 편(嘗試篇)>).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