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마르틴 시선> 프랑스 서정시의 부활
17세기의 고전주의와 18세기의 계몽주의에 밀려 프랑스 서정시는 오랫동안 자취를 감추고 있었다. 그 문을 다시 연 것이 바로 라마르틴이 29세 때인 1820년 익명으로 발간한 ≪명상시집≫이다. 라마르틴의 데뷔작이자 첫 대표작인 이 시집은 문장의 울림과 운율의 힘, 삶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 차 있었고, 섬세하고 유연하며 우울한 시구에 내재한 다감하면서도 고상한 영혼의 끊임없는 떨림과 빛깔은 사람들을 열광하게 했다. 프랑스 낭만주의의 화려한 부활이었다.
‘소멸의 시’, ‘부활의 시’
라마르틴은 어렴풋하고 불명확한 묘사를 통해 영혼의 움직임을 드러낸다. 그의 시에서는 감각 세계의 모든 대상들이 죽음이라는 도착지만을 갖기 때문에, 마치 그 모든 게 이승에서 은퇴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라마르틴은 자신에 대한 ‘포기’를 헛되이 이상화하면서도 자신이 견디고 있는 ‘상실’을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그리하여 ‘회한’이라는 공간 속에서 대상이 소멸하는 것과는 반대로, 그 대상은 ‘추억’이라는 공간 속에서 결핍에 대한 괴로운 의식을 동반한 채 재창조되어 죽은 것은 다시 살아나고, 잊힌 것은 다시 기억된다. 그러므로 라마르틴의 시는 ‘소멸의 시’인 동시에 ‘부활의 시’라 할 수 있다.
‘시 그 자체’였던 시인
1839년에 ≪시적 명상≫이라는 제목으로 시집을 출판한 뒤 10년 동안 그는 정의와 민중의 복지를 위해 정치가로 정열적인 활동을 하면서 문학 활동을 중단했다. 그가 정치에 나서면서 단호한 어조의 웅변으로, 또는 담화문으로 위대한 민주주의 사상, 박애 정신, 인도주의 등을 찬양했던 것처럼, 라마르틴은 입신출세에 눈이 먼 비열한 자들을 멸시하면서 정도(正道)만을 고집한 용기 있는 인물이었다. 그의 고결한 영혼은 오롯이 자연과 인류를 비추는 아름다움과 착함을 위해 바쳐졌다. 그리하여 훗날 파르나스 시인들의 스승이 된 테오필 고티에의 말처럼, 라마르틴은 정말 시 그 자체였던 것이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