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발췌 화간집

원서발췌 화간집

<원서발췌 화간집> 사(詞)란 무엇인가?
본래는 악곡의 가사로 쓰이던 것이 민간에서 유행하기 시작해 곡자사(曲子詞)라고 불리다가 후에 점차 사라고 줄여 부르게 되었다. 초기의 작품은 중당(中唐)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시가 아닌 하나의 독립적인 장르로 인식하게 된 것은 당말(唐末)부터 오대(五代) 후라고 본다. 작풍은 보통 완약, 호방, 전아, 영물 등 여러 파로 나뉘는데, 시에서 표현하기 곤란한 섬세한 미감(美感)이나 감정을 독백 형식으로 진술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주요 사집으로는 ≪화간집≫, ≪존전집≫, ≪절묘호사≫ 등이 있다.

최초의 문인사집 ≪화간집≫
사는 민간에서 출발해 문인이 그 창작을 주도하게 되면서 점차 발전했고, 송(宋)에 이르러 극성을 이루며 송대(宋代)를 대표하는 문학 형식이 되었다. 그러나 민간사(民間詞)와 초기의 문인사(文人詞)를 거쳐 극성의 단계에 진입하기 이전, 초기 문인사와 전문 문인사의 점이적인 형태를 보이며 극성 단계로 가는 전환점이 되었던 만당과 오대의 문인사를 간과할 수는 없다. 특히 최초의 문인사집인 ≪화간집≫은 사라는 문학 형식이 문인의 모색 단계에 머물렀던 초기 문인사 형태가 진정한 총체성을 구비해 가는 데 변화와 정리를 단행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와 같이 ≪화간집≫은 사의 문학 단계를 고찰하는 데 있어 반드시 궁구해야 하는 작품집이다.
화간사는 온정균과 위장을 중심으로 작품 모습을 구분하지만 화간사 속에는 화간이라는 명칭에 부합하지 않는 작품도 적지 않다. 그러나 화간이라는 서명을 통해 당시의 사작 특징을 대변하고 있으며, 화간과 거리가 있는 작품 역시 사의 극성기를 준비하는 다양성 전개의 전초가 됨을 알 수 있다.
화간사의 이와 같은 가치를 고려해, 온정균과 위장만을 집중적으로 거론하며 ≪화간집≫을 운운하는 현실에서 한발 나아가 ≪화간집≫ 작가 18명의 작품을 수록된 비율에 따라 고루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