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대신영 천줄읽기>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옥대신영(玉臺新詠)≫ 10권은 남조(南朝) 양(梁)나라 무제(武帝) 때 태자 소강(蕭綱)의 취지에 따라 서릉(徐陵)이 편찬한 시가 선집으로, ≪시경(詩經)≫·≪초사(楚辭)≫를 제외하면 가장 오래된 시가 선집이다. 수록된 작품은 송각본(宋刻本)을 기준으로 볼 때, 한대(漢代)부터 편찬 당시인 양대(梁代)까지의 민가를 포함한 115명의 실명(實名) 작가의 시가로서 오언체(417수), 오언 사구 이운체(157수), 칠언체(44수), 사언체·육언체 및 잡언체(49수) 등 총 667수에 달한다. 이 시가 선집은 한대부터 남조 말엽에 해당하는 양대까지의 시가 중에서 여성 또는 애정과 관련된 시가를 총괄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작가와 작품의 수량에서도 당시(520∼526)에 편찬된 시문 선집인 ≪문선(文選)≫에 수록된 시가(65명, 444수)를 훨씬 능가한다.
이 선집의 제목에 대해서는, ‘옥대(玉臺)’[조균(趙均)]·‘옥대집(玉臺集)’[≪대당신어≫·≪창랑시화(滄浪詩話)≫]·‘옥대신영집(玉臺新詠集)’[심봉춘(沈逢春)] 등의 이명이 있는데 모두 별칭이다. 우선 ‘옥대(玉臺)’란 옥으로 장식한 누대 혹은 아름다운 누대를 가리키니, 모두 궁중 여인들의 거처, 넓게는 여인들의 거처를 가리키는 미칭으로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옥으로 장식된 경대란 뜻으로 쓰인 경우도 있다. 어쨌든 ‘옥대’의 뜻은 좁은 의미로는 궁중 여인들의 거처를 말하며, 나아가 여인들의 거처, 또는 여인들의 생활공간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옥대’는 곧 이 시가집에 수록된 시가의 내용적인 측면을 가리키는 말로, 여성과 관계가 있음을 뜻한다. 다음으로 제목에 쓰인 ‘신영(新詠)’이란 의미에 대해 살펴보면, ‘신(新)’은 ‘구(舊)’에 대한 말로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것이란 의미이며, ‘영(詠)’은 시가라는 의미로 쓰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대와는 다른 새로운 시가’라는 의미로 파악할 수 있다. 종합하면, ≪옥대신영≫이란 제목의 의미는 곧 ‘옥대의 새로운 시가’라고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여성과 관계있는 새로운 시가’라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서문에 나타난 이 시가집의 편찬 목적과 선시 기준을 종합해 보면 이 책은 후궁들의 오락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시가다. 즉, ≪시경≫의 국풍에 견줄 수 있는 전대부터 당시까지의 사랑 노래를 편집했다는 것이다. 서문에 나타난 편찬 목적은 독자를 염두에 둔 것으로, 그 독자란 좁게는 당시 궁중 내의 여성들, 즉 후비(后妃) 및 궁녀들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 넓게는 바로 고대 식자층에 속하는 여성들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역서는 한국연구재단의 동서양명저번역지원사업에 의한 번역인 ≪옥대신영≫(전3권)의 내용을 일부 수정하고 수록 작품을 대폭 줄여 한 권으로 만든 것이다. 수정의 원칙은 다음과 같이 정했다. 근간은 기존 체제이며, 거기에 주석을 줄였고, 작가, 번역문 및 설명 부분을 퇴고와 함께 축약했다. 다음으로 작품 선택의 기준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여성 또는 애정과 관련된 작품이란 원래 선시 기준과 가장 잘 부합하는 작품을 수록코자 했다. 그리하여 당시 같은 시대 서로 다른 문학관에 의해 탄생한 시문선집인 문선과 중복된 작품은 가능하면 제외하기로 했다. 또한 여성과 관련된 시가집이란 특징 때문에 여성 작가의 작품으로 되어 있는 작품은 가능한 한 많이 수록하기로 했다. 다음으로 무병신음 또는 평범하거나 막연한 내용의 작품은 비록 여성 또는 애정과 관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가능하면 제외하고자 했다. 그에 따라서 대다수 왕족들의 작품이 실제 체험에서 우러난 것이 드물기에 이들의 작품을 상대적으로 많이 제외했다. 각주 또한 번역문을 통해 드러나 있는 단순한 어휘 해설은 가급적 생략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