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발췌 열두 누각 이야기> ≪열두 누각 이야기(十二樓)≫는 청대의 저명한 희곡 이론가이자 비평가이며 소설가이기도 했던 이어(李漁)의 단편소설집이다. 현존하는 이어의 소설 중에서 가장 완전무결한 작품으로, 제목이 시사하듯 열두 편의 단편소설로 구성되어 있다. 각 편마다 누각이 등장해 전체 작품이 연관성을 띠고 있어서 ≪열두 누각 이야기≫라는 제목이 붙여진 것이다. 이 소설집은 ≪각세명언(覺世名言)≫이라고도 부른다. 이어가 각세패관(覺世稗官)이라고 자칭하며, 작품 내용에 권선징악적인 사상을 투영했기 때문이다.
≪열두 누각 이야기≫의 제재는 상당히 다채롭다. 등장인물을 보면, 고관대작에서 미천한 사람에 이르기까지 두루 형상화했고, 그 내용에 고상하면서도 속된 이야기를 모두 수용해 이야기 구성이 흥미로우면서도 생동감이 느껴진다. 또한 이야기의 줄거리 안배 역시 뛰어나서 읽는 이들로 하여금 새로우면서 기이한 체험을 하게 할 정도다.
이어는 ≪열두 누각 이야기≫의 매 도입부에서 인정세태(人情世態)나 인간의 도리 등 전체 이야기의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 송대, 원대, 명대의 사건을 배경으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거나 처지와 운명, 이상 등을 묘사했다.
열두 편 이야기는 <합영루(合影樓)> 3회, <탈금루(奪錦樓)> 1회, <삼여루(三與樓)> 3회, <하의루(夏宜樓)> 3회, <귀정루(歸正樓)> 4회, <췌아루(萃雅樓)> 3회, <불운루(拂雲樓)> 6회, <십근루(十巹樓)> 2회, <학귀루(鶴歸樓)> 4회, <봉선루(奉先樓)> 2회, <생아루(生我樓)> 4회, <문과루(聞過樓)> 4회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열두 편의 이야기 중 다음 세 편을 소개했다.
<합영루>: 남녀 사이에는 경계가 있어야 한다
원수처럼 지내 온 두 집안의 남녀가 물에 그림자를 띄워 사랑을 나눈다. 틀에 찍어 낸 듯 꼭 닮은 외모가 단번에 서로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남녀수수불친(男女授受不親)’이라 그렇게 경계하고 또 경계했건만 둘의 그림자까지 단속하진 못해 결국 일을 만들었으니, 이렇게 된 바에야 아이들을 탓하는 것도, 그 부모를 욕하는 것도 다 쓸데없다.
<탈금루>: 혼인을 결정할 때는 신중해야 한다
부부가 어렵게 어여쁜 두 딸을 얻었으나 혼인을 결정할 때 신중하지 못해 소송에 휘말리고 말았다. 부모의 경솔함이 두 딸을 비운에 빠뜨렸으나, 신중한 관리가 나서 두 여인에게 좋은 짝을 찾아 주니 만사가 겨우 제자리를 찾게 된다. 자고로 혼인은 ‘인륜지대사’라 결정에 신중해야 하는 법이다.
<십근루>: 좋은 기회와 인연은 오래 기다려야 얻는 법
선인으로부터 ‘열 번의 합환주’를 예고 받은 젊은이가 있다. 열 명의 처첩을 얻어 백년해로할 줄 알았더니 아홉 번의 실패 끝에 겨우 짝을 얻을 운일 줄이야. 오래 참고 기다려 겨우 짝을 만났으니 그 애틋한 정이 더욱 깊을 수밖에. 역시 좋은 기회와 인연은 오래 기다려서 얻어야 하는 법이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