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설야 단편집 초판본> 한설야는 프로문학을 문학적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 관점에서 이해했고, 카프 가입 초기에는 이론가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벌인다. 하지만 그는 사회과학을 하나의 원리나 질서로 받아들인다. 카프 가입 후 그가 쓴 일련의 평론이 원론적 마르크스주의에 입각해 있는 것이나 카프 해산 후에도 전향하지 않은 작가로 남은 것도 이런 사정과 관련된다. 그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문제는 사상과 현실의 결합이었는데, <과도기>를 “양식에 있어서만 아니라 실로 그 정신에서도 분명히 새 시대의 문학”으로 높이 평가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과도한 정치 지향은 월북 후 ‘인민 예술가’ 칭호를 받는 등 최고의 영예를 누리다가 가차 없이 숙청당하는 비극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함께 습작기부터 일어 창작을 하다가 1930년 말 일제의 만주국 정책을 옹호하는 듯한 ≪대륙≫을 쓰는 등 작가로서 언어 문제에 무감각했다는 점도 비판되어야 마땅하다.
한설야는 사회주의와 계급문학에 관심을 가진 이후 주변의 어떤 강압과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특히 그는 중국과 일본 체류 경험을 통해 동아시아 정세에 대해 폭넓은 시각을 확보할 수 있었는데, 그것이 일어 소설 쓰기에 대한 자의식 결여 등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특히 일제 말기 ≪대륙≫·<혈(血)>·<영(影)> 등 일어 소설을 통해 일본 남성과 만주 여성, 혹은 조선 남성과 일본 여성의 결혼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룸으로써 일제의 ‘신체제 문학’에 은근히 협조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 것도 엄밀하게 평가받아야 할 문제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