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켑투케 중단편집> 국내 최초로 소개되는 시베리아 지역 소수민족 출신 작가의 작품
예벤크족 출신인 갈리나 켑투케는 러시아 소수민족 출신 작가들 가운데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작가다. 본명은 갈리나 이바노브나 바를라모바. 필명인 켑투케는 젤툴라 강변에 살았던 예벤크 씨족의 명칭으로 ‘짐승의 추적’을 의미하는 예벤크어다. 소설가인 동시에 예벤크어와 민속을 연구한 언어학자이자, 민속학자였기에 그녀의 작품에는 예벤크족 유목민의 전통 관념, 생활 관습, 의례, 설화 그리고 순록 유목민으로서 겪게 되는 여러 가지 애환이 간결한 필치로 선명하게 그려져 있다.
<제 이름을 가진 젤툴라강>은 아무르주 제야강 유역에서 순록을 유목하는 예벤크인 가족의 셋째 딸의 눈으로 바라보는 유목민의 일상을 나타낸다. 시대적 배경은 러시아의 사회주의 혁명 직전과 혁명 이후 유목민 집단화 시기다. 소설 전반에는 예벤크족의 신화와 민담, 마법에 관한 이야기가 일상과 조화를 이루며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켑투케는 현실세계와 정신세계, 현실과 가상을 별개로 분리시키지도, 대립시키지도 않는다. 그것은 하나의 세계 속에 어떠한 이질감이나 모순도 없이 공존하고 있다. 어디까지가 현실 세계이고, 어디부터가 마법의 세계인지 그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마치 현실의 인물들이 민담의 세계 속 주민으로 살고 있는 듯하다.
<체릭테 할아버지의 이야기>에는 작가의 화신이라 할 수 있는, 예벤크어와 민담을 연구하는 박사가 등장한다. 그는 쉬기 위해 고향을 방문했다가 체릭테 노인을 만난다. 그리고 노인에게서 예벤크족의 민담과 전설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채록하게 된다.
<순록 없는 순록 올가미>는 봄나크와 기숙학교라는 공통의 소재로 엮인 단편 모음이다. 봄나크의 기숙학교 시절 이야기와 그곳을 이미 졸업하고 성인이 된 이후의 이야기들이 하나의 제목 아래 결합되어 있다. 변해 가는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고, 불임과 음주, 실업 등 많은 사회 문제에 직면한 예벤크인들의 불안한 현재 삶의 모습이 작품 속에서 묘사되고 있다.
모든 작품의 밑바탕에는 유목 생활에서 정주 생활로 삶이 변화하며 겪게 된 예벤크족의 현실 모습이 깔려 있다. 그러한 현재적 삶의 결핍에 대한 부정적 묘사와 동시에 나타나는 예벤크족의 신화와 민담, 전설에 대한 소개는 작가가 제시하는 미래의 비전일 것이다. 현재에 와서 시베리아 소수민족들이 자신들의 전통을 회복하는 데 힘을 기울이는 것도 바로 자신들의 정체성 회복과 정립이 그들의 미래와 바로 직결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