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노월 단편집 초판본> 오스카 와일드의 예술지상론과 유미주의를 자신의 문학적 신념으로 수용하고 일관되게 실천한 유일한 작가인 임노월의 작품들은, 우리 문학사가 리얼리즘의 문학적 전통을 확립하던 시기로 주목해 왔던 1920년대 문학계가 실상은 낯설고도 불온한 사상들에 뜨겁게 매료돼 있었다는 사실을 상기시켜 준다.
임노월이 작품활동을 했던 1920년대 전반기는 시대정신으로서의 ‘근대’가 지배했던 전형적인 시기로 근대사에서뿐만 아니라 근대문학사에서도 특기할 만한 시기다. 무엇보다 이 시기는 연애의 열병에 달떠 ‘연애를 연애’하는 낭만의 시대였고 예술지상주의의 기치를 높였던 황홀한 열정의 시대였다.
1920년대 조선에서는 ‘연애’라는 근대적 형식의 사랑이 청춘의 감각을 대변하며 대중적인 유행어가 되기에 이르렀고, 나아가 조선 문단은 유미주의, 아나키즘, 다다이즘과 같은 세기말적 사상과 전위적인 문예사조의 세례를 받아 예술을 향한 열정에 도취되어 있었다. 구습(舊習)의 굴레를 벗고 새로운 가치를 모색하는 것이 절체절명의 명제였던 당시 조선의 지식인 사회에서 ‘자유연애’와 ‘예술’은 낡은 관념을 대체하는 낯설고도 새로운, 그러나 매혹적인 근대의 기호였던 것이다. 이때 일본 유학을 통해 오스카 와일드의 사상과 접하게 된 조선의 지식인들은 그 사상의 새로움에 열광했고, 와일드를 유미주의와 쾌락주의, 죽음을 찬미하는 퇴폐적인 작가로, 개인주의와 예술지상주의의 상징적 존재로 수용하고자 했다. 이 가운데 임노월은 와일드의 예술지상론을 자신의 문학적 신념으로 수용하고 일관되게 실천한 유일한 작가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예술론을 죽음을 불사한 연애 서사를 통해 절대 신성의 경지에서 추구하고 옹호하려 했던 연애지상주의 작가이기도 했다.
임노월이 발표한 7편의 소설은 모두 당시 유행하던 남녀의 연애담을 표방하고 있다. 특히 1920년 ≪매일신보≫에 차례로 연재된 <춘희>, <위선자>, <예술가의 둔세>는 예술가의 꿈을 꾸던 남녀의 사랑이 현실의 장애 앞에 좌초되는 20년대 연애 서사의 공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즉 예술가 혹은 예술가 지망생, 조혼한 남성과 미혼 여성, 배신과 도피 혹은 죽음이라는 비극적 연애를 기본적인 서사 구조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소설들은 ‘비애(悲哀)’라는 비극적 정조를 심미화하고자 했던 임노월 문학관의 적극적 실천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임노월에게 ‘비애’는 단순히 고통스럽고 슬픈, 부정적 정서가 아니라 ‘공포와 비통(悲痛)의 위대한 미(美)’를 구현하는 심미적 경험이었다. 따라서 이들 서사를 지배하는 것은 인물이나 플롯이 아니라 궁구(窮究)의 절대미로서의 예술에 대한 격정적 찬미와 실패한, 혹은 실패할 연애에 대한 감상적 영탄이라 할 수 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