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카쿠의 여러 지방 이야기> 일본판 전설의 고향
이하라 사이카쿠는 그의 처녀작 ≪호색일대남(好色一代男)≫이 대히트를 치면서 일약 에도 시대의 인기 작가로 떠올랐다. 그가 자신의 세 번째 책으로 출간한 것이 일본 전국 각지에 떠돌던 신기하고 기이한 이야기들을 수집해 윤색하고 재창조한 ≪사이카쿠의 여러 지방 이야기(西鶴諸国咄)≫이다. 작가의 명성에 힘입어 이 책 또한 큰 인기를 끌었다. 당시에는 이런 여러 설화류 문학작품들이 성행했다.
이 책에는 총 35편의 기이하고 신기한 작품들이 실려 있다. 에도 시대 3대 도시인 에도, 교토(京), 오사카(大坂)를 위시해 그 주변 지역인 야마토(大和, 나라현 일대)와 가와치(河内, 오사카 남동부 일대) 지방의 이야기가 적게는 2화에서 많게는 4화 이상 등장한다. 오늘날 관광 명소로 잘 알려진 가마쿠라(鎌倉)나 하코네(箱根)를 비롯해 규슈(九州) 지방과 도호쿠(東北) 지방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도 있다. 등장인물들은 당시의 중심 계층이었던 무사와 상인을 비롯해 선인(仙人), 덴구(天狗) 같은 비현실 세계의 존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 작품은 1685년에 발표되었는데 사이카쿠는 그로부터 가깝게는 30년, 멀어도 60년 전, 즉 1620년에서 1650년 무렵을 그 배경으로 하는 이야기들을 대부분 재창조했다. 그야말로 당대에는 발생해서 유포된 지 그리 오래지 않은 따끈따끈한 최신 설화였던 것이다. 사이카쿠는 이러한 여러 지방의 최신 설화에 기존의 설화 가운데 유사한 내용을 부분적으로 합치고 여기에 작가의 상상력을 추가해 새로운 이야기로 재탄생시켰다. 이 작품의 가치는 ‘오래지 않은 근래의 핫한 설화’와 ‘오래된 옛날 설화’를 부분적으로 복합해 전혀 새로운 문학 작품으로 재탄생시켰다는 데에 있다.
사이카쿠가 문학적 창의성을 발휘해 재창조해 낸 그 내용이 ‘온고지신’이라는 일본 문학의 오랜 전통에서 비롯한 것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옛것과 지금의 것의 조화를 통한 재창조’는 ‘남의 것과 내 것의 조화를 통한 재창조’와 더불어 일본 문학을 지탱해 온 양대 축이라 할 수 있다. ≪사이카쿠의 여러 지방 이야기≫에 실린 기묘하고 흥미진진한 재창조된 이야기들을 통해 그러한 일본 문학의 오랜 전통을 이해할 수 있다. 일본 고전판 ‘신 전설의 고향’의 탄생이다.
이 작품에는 각 이야기마다 삽화가 실려 있다. 지극히 일본적인 이 삽화는 당대의 시대와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삽화에는 작가가 독자에게 보내는 일종의 수수께끼 같은 암호를 담아 놓았다. 다시 말해 왜 하필 해당 이야기 속의 그 특정 장면을 굳이 삽화로 표현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진다면 이야기를 읽는 재미가 배가된다. 역자들은 이에 대해 친절하게 설명을 붙였다.
이 작품은 일본 고전문학을 연구하는 <일본고전명저독회>에서 번역했다. 총 28명의 연구자들이 번역에 참여했다. 그들은 35편의 이야기를 윤독하면서 많은 토론을 통해 세밀한 집필 방침을 마련해 공유했다. 그 결과 양질의 번역을 할 수 있었다. 번역자들은 단순히 본문 번역에만 그치지 않고 각 이야기마다 키워드를 뽑고, 도움말을 작성하고, 삽화에 대한 설명을 곁들였다. 따라서 이 작품이 일반 독자뿐 아니라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신경을 썼다. 이러한 집필의 구성은 일본 고전 문학 연구자들이 대거 참여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 책은 단편적으로만 알려지던 ≪사이카쿠의 여러 지방 이야기≫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완역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