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만의 도시 초판본

불만의 도시 초판본

<불만의 도시 초판본>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초판본 한국 근현대소설 100선’ 가운데 하나. 본 시리즈는 점점 사라져 가는 명작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이 엮은이로 나섰다.

안정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던 대졸 젊은이가 우연히 재벌 회장과 알게 되고 승승장구한다. 평소 재벌을 미워했지만 이제 그 재벌의 오른팔이 되는 이야기다.

유현종의 ≪불만의 도시≫는 고학으로 대학은 나왔으나 채석장에서 막노동을 하던 청년 한상조가 우연한 기회에 대기업 사장의 눈에 들어 출세한다는 통속소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드라마로 치자면 1980년대의 <사랑과 야망>, 1990년대 <젊은이의 양지> 류의 1960년대 버전인 셈이다.
4·19혁명의 이념은 ‘민주화’와 ‘근대화’의 ‘야누스’로 축약된다. 이것이 야누스임은 이상적이되 비역사적이라는 의미에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민주화와 근대화의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거머쥔 후진국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의 기적적인 자본주의 개화 – 쓰레기통에서 장미꽃이 피었다는 평가를 들을 만큼 – 는 강력한 독재를 기반으로 한 초억압국가의 탄생에 힘입은 바 크다. 자원과 기반 시설이 없어 외국에 기댈 수밖에 없는 지리적 여건도 오히려 남한 사회가 해외 의존형 수출 지향 산업을 추진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작품 속에서 재벌 김강연 사장은 ‘한국 재벌은 장차 세계의 유수한 재벌과 경쟁해야만 한다. 따라서 과도적으로 매판자본이라는 필요악을 행할 수밖에 없다. <선 개발 후 민주>이 필요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이에 반해 한상조가 속해 있었던 ‘정간회’의 회원들은 ‘기틀이 단단하게 닦이지 않으면 그 어떤 성장도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선 민주 후 개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다.
이들이 말하는 민주화의 초점은 ‘분배’다. 김강연 사장도 이것의 중요성을 부정하고 있지는 않다. 문제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분배의 민주화가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실이다. 4·19세대가 근대화의 모델로 삼고 있는 유럽(특히 프랑스)의 민주화는 설사 그것이 훌륭하게 실현되고 있다 하더라도 결코 개발도상국에까지 ‘분배’될 수 없다. 유럽의 민주화는 단지 시민혁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수많은 다른 나라들의 희생에 의해서 가능했던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정간회의 주장처럼 ‘선 민주’를 했다면 한국은 ‘분배’는커녕 세계 자본주의 피라미드의 밑바닥에서 기아와 궁핍에 시달렸을 가능성이 크다. 반대로 김강연의 말대로 한국 스스로가 든든한 민족자본을 건설하는 ‘미래’에 성공한다 해도 그 결과는 ‘분배’가 될 수 없을 것이다. 이른바 선진국이라 불리는 고도성장 국가들의 공통점은 그들이 모두 제국주의 시기, 다시 말해 식민지 경영의 경험을 갖고 있다는 데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