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익 단편집 초판본

최명익 단편집 초판본

<최명익 단편집 초판본>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초판본 한국 근현대소설 100선’ 가운데 하나. 본 시리즈는 점점 사라져 가는 명작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이 엮은이로 나섰다.

1903년 평남에서 태어나 남북분단 이후에도 그대로 북쪽에 머물렀던 작가 최명익의 작품 세 편을 실었다.

최명익의 대표적인 작품 <심문>, <무성격자>, <장삼이사> 등은 근대적 가치 체계를 발본적으로 비판한 작품이다.
최명익 소설은 찾아야 할 그 어떤 ‘별빛’도 잃어버린 채 “제 심정을 바칠 곳이 없어서”(<심문>) 스스로 죽어 가는 인물들의 비망록이다. 그들의 자멸은 근대적 가치 체계에 대한 항의이자 비타협적인 저항인 셈이다.
<심문>은 비타협적인 저항이 왜 스스로를 파괴하는 행위로 드러나는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작품은 예의 현실을 수긍하기 힘든 자의 유의미한 존재 지점이 내면임을 보여 준다. 동시에 내면만큼 무기력한 것도 없음을 역설적으로 보여 준다.
작품 속 인물들은 어쩔 수 없는 운명에서 벗어나 상징적 자살 행위로 스스로의 상징적 좌표를 새로 점할 수 있게 된다. 그들의 선택은 가혹한 현실에서 강요된 선택을 자신의 선택으로 돌려놓는 영웅적 투쟁의 몸짓인 셈이다. 그런데 항의와 저항이 주체 바깥의 대상들을 향하는 데 그쳤다면 최명익의 소설은 비판의 잣대에 스스로 갇히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다. 그의 소설은 세계에 대한 도덕적 우월감을 바탕으로 한 댄디즘적 취향의 발현이 아니다.
최명익의 소설은 모순된 현실 속에서 모순된 정체성을 갖게 된 인물들의 자기 파멸의 한계 또한 분명히 표현하고 있다. 소설 속 지식인적 주인공은 자신의 무기력함에 대해 깨닫고 있다. 현실과 함께 마모되어 가는 인물의 모습은 개인으로서 자신을 통렬하게 자각해 가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 개인성에 대한 자의식적 인식이 향하고 있는 이 역설적 인식을 잘 보여 주는 대표작으로는 <무성격자>를 들 수 있다.
해방 전 마지막으로 집필한 소설인 <장삼이사>에서는 다수 대중에 대한 작가의 시선을 살필 수 있다. 열차 안에서 벌어지는 포주와 여인의 폭력적 상황, 그리고 이에 잔인하게 동조하는 대중들의 모습에는 예의 생활인들의 생기뿐 아니라 현실 타협적인 대중에 대한 의구심이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장삼이사>가 다수 대중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는 이전 소설과 다른 듯하지만 그들에 대한 비판적 시선은 여전하다. 작가적 분신들에 해당하는 인물들이 스스로의 내적 원인들에 의해 삶을 선택하는 인물 유형을 가진다면 대중은 외부적 힘의 무게 중심에 따라 자신들의 행위를 결정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