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성 작품집 초판본

김용성 작품집 초판본

<김용성 작품집 초판본> 지식을만드는지식의 ‘초판본 한국 근현대소설 100선’ 가운데 하나. 본 시리즈는 점점 사라져 가는 명작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이 엮은이로 나섰다.

2011년에 작고한 작가 김용성의 작품 가운데 1970∼1980년대 중단편을 실었다.

중편 <리빠똥 장군>은 1971년 ≪월간문학≫에 분재한 작품으로 군대라는 조직사회 속에서 야기될 수 있는 인간의 갈등 양상과 한 인간의 추락 과정을 희화화시킨 작품이다. 이 작품 속에서 작가는 조직의 메커니즘이 야기하는 인간성의 마멸과 타락 과정을 냉소적 시선으로 포착하고 있다.
단편 <홰나무 소리>(1975)는 ‘홰나무’를 중심 이미지로 하여 국권피탈, 일제 식민지, 해방공간, 6·25전쟁이라는 험난한 한국 현대사를 배경으로 홍 씨 일가의 3대에 걸친 비극적 가족사를 다룬 작품이다. 이 소설은, 나, 할아버지, 아버지, 덕보를 중심인물로 삼아 진행된다.
구한말 의병 활동에 참가한 할아버지의 효수와 8·15 해방 이후 좌우익의 이념 대립에 따른 아버지의 피살 등이 ‘홰나무’ 아래에서 이루어졌다. 즉 ‘홰나무’는 이 작품에서 역사의 산 증인이며 홰나무가 있는 마을은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혼이 깃들어 있는 신성한 공간이기도 하다.
중편 <안개꽃>(1979)은 6·25전쟁 때 남과 북으로 헤어진 이산가족 3대의 수난사를 형상화하고 있다. 한국 현대사의 굴곡과 함께 상처받은 작중 인물들의 내면세계가 역사의 파장과 함께 섬세하게 묘사되고 있다. 북에서 동독에 유학했다가 전향하며 남한으로 오게 된 이승호는 아버지의 행방을 찾아 나선다. ‘나’는 그를 도와주는 안내원이다. 이승호는 아버지가 어머니와 자기를 두고 1·4후퇴 때 떠나가 버린 직후 어머니가 폭탄에 맞아 죽자, 아버지에 대해 목적을 위해 야비해질 수 있는 이중성격자라고 판단하고 미움을 가진다. 아버지를 찾는 과정에서 아버지가 북에 두고 온 처자식을 그리워했으며, 자책감에 고통스러워하여 병을 얻게 되었음을 알게 된다. 아버지가 북의 가족을 잊기 위해 새 출발을 하고자 브라질로 떠났지만 주식으로 파산하고 또다시 북의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고통 때문에 정신병을 얻어 입원했음을 알게 되면서 이승호는 아버지에 대한 미움을 거두고 희망과 사랑으로 아버지를 받아들이게 된다.
단편 <아카시아꽃>(1986)은 제1회 동서문학상 수상작으로, 인간적이며 낭만주의자였던 한 지식인이 자유당 말기와 유신시대를 거치면서 정신병자로 퇴출당하는 신산한 삶을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 속에서 작가는 집단이 저지르는 폭력성 즉 전쟁의 폭력성이라든가 이데올로기의 광포함을 규탄하고 있으며 따뜻한 인간애, 진정한 휴머니즘만이 인간을 구제해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중편 <슬픈 양복재단사의 나날>(1984) 역시 195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 격동의 시기를 겪었던 다양한 삶의 양상들을 묘파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작중 화자 ‘나’는 교사로서 한국 현대사의 굴곡 속에서 무너져 내린 정채수의 삶의 궤적을 객관적 시각으로 묘파한다. 4·19혁명의 기수였던 정채수는 정의와 자유에 대한 신념과 의지를 지녔던 인물로서 소심하고 나약한 나에게 외경감을 불러일으키는 존재이다. 그러나 4·19혁명의 뜻이 좌절되고 나아가 5·16군사쿠데타에 절망한 정채수는 아버지가 운영하던 양복점 일을 거들게 된다. 미란과 결혼 후 소설을 쓰겠다던 꿈을 접고 신문사 기자가 되지만 유신시대에 불순분자로 택시 기사에게 고발당하면서 빨갱이로 몰린다. 그리고 신문사 기자도 그만두게 된다. 이후 정채수는 아버지의 가업인 양복점을 운영하면서 ‘슬픈’ 양복재단사의 나날을 고통스럽게 살아가다 45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한다.
단편 <침묵과 소리>(1985)는 냉전시대와 독재권력의 횡포 속에서 매장당하는 인물의 한 전형을 보여 주고 있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선량하게 ‘침묵’ 속에서 예수처럼 사랑을 베풀던 한 소시민이, 정치적 억압과 처벌 때문에 고통을 당하자 “고무줄을 사세요”라는 ‘소리’로써 절규하며 정신병동으로 실려 갈 수밖에 없었던 비극적 현실을 우의적으로 알레고리를 통해 보여 주고 있다.
단편 <탐욕이 열리는 나무>(1982)는 탐욕의 본질과 탐욕을 향한 개인적·집단적 광증을 알레고리로써 보여 준 작품이다. 이 작품은 현대 사회의 반인간화 현상을 비판적으로 보여 준 작품으로, 어느 작품들보다도 작가의 상상력이 뛰어나게 형상화되어 읽는 재미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탐욕의 원천인 ‘돈’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순환구조를 통해, 탐욕이 야기하는 비극성과 탐욕을 충족시키려는 인간의 다양한 행태들을 우의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