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소> ≪냉소(冷笑)≫가 세상에 나온 1910년 전후는 근대 일본이 사회적, 사상적으로 큰 변곡점을 맞이한 시기다. 메이지 신정부는 천황제의 전면적인 복권을 꾀하는 동시에 문명개화, 식산흥업, 부국강병을 슬로건으로 내세우면서 근대화 노선을 추진하는 한편, 극심한 검열로 표현의 자유를 통제했고 오래된 민중 문화를 병폐로 규정지었다. 민중이 부지런히 창조해 온 도시 상인과 장인의 문화, 그 근본을 따져 보면 천민 문화의 계보를 잇는 문화를 단절시키고 서양 모델에 맞춰 국가 주도형 문화 체제로 바꾸려고 한 것이다.
나가이 가후는 메이지 유신 직후의 대격변기에 태어나 일본 근대화의 소용돌이를 겪으며 서민의 눈높이로 국가의 동향과 사회의 정세를 바라보았다. 그는 일본 근대화의 밑바닥에 숨은 허망한 욕심을 일찍이 알아챘고, ≪냉소≫를 통해 메이지 유신 이후 아무런 반성도 없이 맹목적이고 무질서하게 문명개화를 꾀한 근대 일본을 기탄없이 비판했다.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관료와 군부가 지배하는 메이지 이후의 사회 체제는 소통이 없는 꽉 막힌 시대이며 속물들이 신사랍시고 거들먹거리는 졸부의 시대이자 사이비 문명사회라고 본 것이다. 피상적인 서양화와 근대화에 열을 올리던 시대적 분위기에 일침을 가한 이 작품은 가후의 삶이 담긴 고백 소설이기도 하다. 작중 인물의 대화와 행동, 주요 장면의 묘사에서 가후의 사회관과 근대론, 예술론과 철학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의 비판 정신이 주인공의 고백을 통해 묻어난다.
100여 년 전 소설의 주인공이 던진 말은 우리에게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그때나 지금이나 우리는 방향타를 상실한 채 드넓은 바다를 떠돌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만약 불안도 느끼지 못하고 의문조차 갖지 않는다면 우리는 표류는커녕 저 깊은 바닷속으로 침몰할지도 모른다. 지금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표정이 있는 작가, 나가이 가후는 ≪냉소≫를 통해 그렇게 묻고 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