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발췌 동경잡기> "경주의 영욕의 역사
경주는 천 년 동안 신라의 수도로서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하지만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일개 지방 소도시로 전락한 채 명맥을 유지했다. ≪동경잡기≫에는 경주의 영욕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 때문에 ≪동경잡기≫의 자료 가치는 다양한 방면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각동(各同)·각방(各坊) 등을 통해 17세기 중반 경주 지역의 통치 구조와 수취 구조는 물론 향촌 사회의 운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인물 관련 항목에 소개된 인물들의 행적을 통해서는 과거 경주 지역의 인물사뿐 아니라 ≪동경잡기≫ 편찬 당시 사족(士族)들의 동향과 경주 부민의 동태를 엿볼 수 있다. 또한 고적(古蹟)·불우(佛宇)·궁실(宮室)·학교(學校)·능묘(陵墓) 등에는 17세기 중반까지 경주 지역에 있던 문화 유적의 현황과 위치가 생생하게 남아 있다. 현재는 없어진 여러 유물·유적에 대한 소중한 정보가 담겨 있으므로, 향후 경주의 시·공간적 역사 자취를 온전하게 복원하는 데 활용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가장 ≪동경잡기≫다운 발췌본
≪동경잡기≫의 특징이라 한다면, 다른 읍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역사적인 항목, 진한기와 신라기에서 진한과 신라의 역사를 왕대별로 간단히 정리했다는 점, 경제나 정치·군사 관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 인물 관련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는 물론 서술 내용 비중이 다른 읍지보다 훨씬 높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책은 그러한 특징을 살려, 진한기와 신라기를 거의 완역하고, 인물 관련 항목을 중점적으로 발췌했다. 그리고 각주를 통해 ≪동경잡기≫가 참고한 원전과 사건 및 각종 용어에 대한 설명을 보충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이 책의 완역본은 지루한 구성, 어려운 단어, 방대한 분량 등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라면 전체적으로 읽어내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은 그러한 점을 최대한 보완하여 일반 대중도 다가가기 쉽게 풀어내고자 노력했다. 책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을 발췌해 ≪동경잡기≫다운 면을 잃지 않으면서도 독자들이 가장 흥미를 가질 만한 인물 항목의 비중을 높였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