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 천줄읽기

미성년 천줄읽기

<미성년 천줄읽기>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중 편역으로 읽어야 할 단 하나의 책을 내게 선택해 달라고 한다면 단연코 ≪미성년≫이다.
≪미성년≫에는 주된 인물은 있어도, 주인공이라 할 만한 인물이 없다. 긍정적인 인물이건 부정적인 인물이건, 심리적인 깊이가 결여되어 있다.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부수적인 인물들 역시 너무 많다. 대부분 사건들의 연결고리도 매우 느슨하다. 뿐만 아니라, 사건이나 등장인물들의 관계도 우연에 우연이 겹쳐서, 인물들은 심하다 싶을 정도로 “우연히” 만난다. 그리고 “우연히” 엿듣게 되고, “우연히” 서로서로 얽히게 된다. 그리고 그 모든 우연의 가운데에는 언제나 화자 아르카디가 필연적으로 “우연히” 서 있다. 화자 아르카디의 서술은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이 사건을 얘기하다 다시 과거로 돌아갔다, 시공간을 뛰어넘어 종횡무진 한다. 뚜렷한 연관이나 적어도 연상 작용으로라도 연결되어 있으면 나으련만, 소설의 서술은 그의 머릿속에 떠오르는 대로 몇 달 뒤로 갔다가, 갑자기 몇 달 앞으로 갔다가 정신이 없다. 이런 사람의 기나긴 얘기를 몇 시간 며칠을 듣는다고 생각해 보자. 쉽지 않은 일이다.
작품의 제목 ≪미성년(подросток)≫은 많은 것을 함축한다. 러시아어 ‘под’는 ‘∼의 아래에 있는, 아직 ∼에 이르지 못한’이란 의미의 접두사이고 ‘рост’는 성장 발육, 연령을, ‘росток’는 싹, 싹이 트는 것 등을 의미한다. ‘подросток’는 그래서 아직 다 자라지 못한, 아직 어른이 아닌 사람이다. ‘성숙’한다는 것은 낯선 대상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혼란과 갈등을 겪고 시행착오를 하면서 자신의 관점과 세계관에 수정을 가해 가며 자기와 타인, 자기와 사회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는 것이다. 그러니 ‘미성숙’하다는 것, 어리고 젊다는 것은 사건이나 사물을 크고 넓게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능력을 아직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고, 자기중심적으로 세상을 본다는 뜻이다.
화자 아르카디는 사회적 정서적으로 미숙할 뿐 아니라, 피해 의식과 열등감, 굴욕감, 모욕감, 자기 비하와 보답받지 못하는 사랑에 대한 분노와 애증 등으로 뒤틀려 있기에 그가 전달하는 사건과 사물도 뒤틀릴 수밖에 없다. 메타 텍스트적인 차원에서 보자면, 이렇게 문학적 스킬도 부족하고 시각과 이해력도 제한적인 ‘아직 다 자라지 못한’ 미성년을 화자로 택함으로써 작가 도스토옙스키는 문학적인 정석을 따를 필요 없이 예술적인 자유를 만끽하지 않았을까 싶다. 사건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화자 덕에 뭔가가 더 있다는 서스펜스나 감정의 고양, 궁금증을 유발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런 점이 ≪미성년≫이 타 작품에 비해 예술성이 떨어진다는 비난을 받게 하는 점이기도 하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