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트인 이야기> 케트족은 크라스노야르스크 북부 지방에 거주하는 시베리아 소수 민족이다. 민속학적으로는 유럽인과 몽골의 특성이 공존하는 우랄 민족 계통에 속한다. 러시아 연방에서 독립된 영토를 갖고 있지 못한 열아홉 개 시베리아 원주민 중 하나로, 러시아 민족별 인구조사에 따르면 2002년에는 1494명이, 2010년에는 1219명이 생존하여 민족 자체의 명맥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케트어 모국어 사용자 수도 현격하게 줄어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 2002년을 기준으로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에 살고 있는 케트족 중 30%만이 케트어를 사용할 수 있다.
주요 생업은 수렵과 어로인데 사냥을 통해 잡은 포획물은 모피 가공의 대상이 되었다. 17세기경 남부지방에 살았던 케트족 일부는 농사를 지으며 말과 가축을 소유했고 또 철광석을 녹여 철을 생산하는 기술을 갖고 있었다.
케트족의 토착 신앙의 근간은 샤머니즘과 물신숭배의 애니미즘이다. 그들은 세계가 신에게 속한 천상 세계, 인간 세계인 지상 세계와 지하 세계로 나뉘며 악령과 천사가 공존한다고 믿었다. 샤머니즘을 신봉하는 민족 특성상 케트족은 오랜 기간 곰을 숭배하여 곰을 직접 부르는 것을 불경하게 여겨 ‘숲의 주인’이라 완곡하게 표현했다. 이들은 곰을 가족 중에 죽은 사람이 환생한 동물로 여기며 설화에서 곰을 인간(주로 고인)과 동일시하는 장면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비록 곰이 식량 조달을 목적으로 한 사냥의 대상이었으나 곰을 죽여도 먼저 제사를 치르고 뼈를 묻어 주는 등 곰을 신성시하는 풍습은 곰 축제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이 책은 러시아어로 된 최초의 ≪케트족 민담집≫(1966)과 2001년에 케트어에서 러시아어로 번역 출간된 ≪케트족 신화, 전설, 민담≫에서 한국 독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한 작품 19편을 엄선하여 번역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