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카기르인 이야기> 유카기르족은 시베리아 북극 지역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민족으로 알려져 있다. 17세기 전반기에 러시아인이 처음으로 야쿠트 지역에 나타났을 때까지만 해도 이들은 드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러시아 제국의 착취로 여러 유카기르 부족들이 살던 곳을 떠나 이동하다가 타민족에 흡수되었다. 다른 민족들과의 계속된 전쟁으로도 큰 인명 손실을 입게 된다. 게다가 천연두 등 전염병이 만연하면서 인구는 크게 감소했고 그 세력이 약화되었다. 그렇게 유카기르족은 500명도 채 남지 않을 정도로 거의 절멸 상태에 이르게 되며, 유카기르족의 전통 문화와 언어도 소멸 직전의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유카기르족의 전통 관례는 많은 면에서 주변 민족과 유사했다. 족외혼 제도나 피의 복수 관습, 사냥물 분배에 관한 니마트(Нимат) 관습은 이웃한 퉁구스계 민족들이나 야쿠트족, 축치족의 관습과 흡사한 부분이 많다. 니마트라는 풍습은 북(北)퉁구스계 민족 중 유목민에게 널리 퍼져 있는, 사냥한 노획물을 나누고 또 답례하는 풍습이다. 유목민들은 기후나 그날그날의 운세 등에 따라서 사냥에서 동물을 잡아 오지 못하는 날도 있었다. 그래서 사냥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포획물을 가지고 귀환한 사냥꾼은 그 노획물을 자신이 속한 유목민 그룹과 꼭 나누었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목민 그룹 내의 유대감과 단합을 공고히 하고 자신이 포획물을 잡지 못했을 때를 대비할 수 있었다.
유카기르족의 샤머니즘 역시 이웃한 퉁구스인이나 야쿠트인의 샤머니즘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샤먼의 기본적인 역할은 질병 치료, 사냥 성공의 기원, 불임 치료, 일기 변화 등이었고, 씨족마다 샤먼이 있었으며 집집마다 북이 있었다는 점은 축치인 등 고아시아 민족과 유사했다.
이 책에는 주인공이 마법을 부려 괴물이나 식인 괴물을 물리치는 이야기, 마법을 부리는 괴물이나 반인반수를 평범한 주인공이 지략이나 용맹함으로 물리치는 이야기 등의 마법담, 욕심을 부리던 부자가 지신(地神)에게 오히려 죽임을 당하는 이야기 등의 교훈담, 동물들 간의 지략 다툼을 다루거나 동물이 꾀로 사람들을 혼내 주거나, 동물들의 생김새나 성향 등이 형성된 연유에 대한 동물담 등 유카기르족의 설화 32편이 실려 있다.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