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의교집

포의교집

<포의교집> ≪포의교집≫은 적어도 1866년 이후에 창작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한문 소설이다. 작자는 미상이다. 규장각에 소장된 1책 필사본으로 유일본(古3477−8)이다. 책 크기는 32×20센티미터이며, 전체 84면이다. 매 면 10행이고 매 행 20자의 해서체로 필사돼 있다.
이 작품은 남녀 주인공의 결연 방식, 지기(知己)의 추구, 시사(詩詞)의 삽입 등에서 전기 소설의 창작 기법을 이어받았으면서도 전기 소설에서 벗어나 있다. 남주인공이 재자(才子)가 아니고 용모와 재주가 모두 보잘것없으며, 신분과 나이가 현격하게 차이 나는 기혼 남녀의 사랑을 담고 있으며, 지기를 욕망하는 주체가 남성이 아니라 하층 계층인 여성이며, 그러한 욕망을 추구하는 것이 결국 오해와 착각으로 어그러진다.
시공간도 극히 사실적으로 그려졌다. 시간적 배경은 동치(同治) 갑자(甲子)인 1864년부터 병인(丙寅)인 1866년까지인데, 1866년(고종 3) 음력 3월에 운현궁에서 거행됐던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처럼 ≪포의교집≫의 사건이 당시 역사적인 사건의 시간과 일치하고 있다. 공간적 배경은 한양으로 설정하고 있다. 남녀 주인공이 만난 곳이며 작품의 주요 배경지가 된 곳인 중구 을지로 2·3가, 수표동, 장교동, 저동 2가에 걸쳐 있던 대전골[竹洞], 민궁이 있었던 안동, 초동, 도선암, 북한산의 승가사, 경모궁 등이 매우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제시됐다.
또한 ‘기혼’ 남녀의 연애담을 다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생은 고향에 젊은 부인이 있는 유부남이고 양파도 유부녀다. 이 둘은 양파의 남편과 시아버지가 함께 기거하고 있는 집에서 만나고 사랑을 할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이 알 정도로 감추지 않는 사랑을 한다. 양파는 이생과의 만남을 남편과 시아버지에게 들켰는데도 아랑곳하지 않는다. 이들의 사랑을 지켜보는 주변인들의 시선도 오늘날 사람들이 생각하는 조선 시대 사람들의 모습과는 다르다. 당파는 이생과 양파가 기혼 남녀인 것을 알고도 둘의 만남을 돕고, 이생의 주변인들은 둘의 사랑을 부러워할 뿐 비난하거나 말리지 않는다. 더구나 양파의 시아버지는 며느리인 양파가 이생과 한방에 있는 것을 보고도 모른 체한다. 작가도 뛰어난 재능을 가진 양파가 변변찮은 이생과 사랑을 하고 지기를 만나는 것을 추구하는 것에 관심을 둘 뿐 양파의 행위를 비난하는 논조는 보이지 않는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