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지전

서동지전

<서동지전> 우화소설로서의 <서동지전>
변동기 사회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이 작품은 흥미로운 요소를 여럿 지니고 있어서 적지 않은 관심을 끌었던 것으로 보인다. 엄청난 부를 소유한 인물과 굶어 죽을 지경에 처한 인물의 극단적 대립, 이들의 날카로운 갈등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소지와 송사, 그리고 관권의 개입에 이르기까지 매우 자극적인 설정과 상황이 흥미롭게 펼쳐지기 때문이다. 관권에 의하지 않고는 해결할 수 없었던 부자와 빈자의 갈등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 작품은 부익부 빈익빈의 양극 분해로 치달았던 변동기 사회의 암울한 이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본의 세 가지 계열
‘양식 다툼’과 ‘송사’는 이 작품의 중심축이라 할 수 있는데, 인물 간의 ‘양식 다툼’은 갈등의 ‘계기’로, 관권에 의한 ‘송사’는 갈등의 ‘해결’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갈등의 원인과 해결 양상이 이본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나 있으므로 이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본에 따라 송사의 실상이 다양한데, 다람쥐의 ‘소지’가 ‘무고’로 밝혀지는가 하면 반대로 다람쥐의 억울함을 밝혀내지 못해 ‘관권의 무능’이 폭로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차가 생기게 된 원인은 작품이 문제 삼았던 대상이 어느 한쪽으로 단정할 수 없는 민감한 것인데다가 우화소설이라는 작품의 특성이 겹쳐지면서 독자의 입장에 따라 해석이 엇갈렸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서동지전>의 이본은 내용의 유사성과 전승·유통의 유사성을 고려해 한글 필사본(약 7종), 한문본(약 3종), 활자본(약 2종) 등 세 가지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어떻게 감상할 것인가?
<서동지전>은 이본이 그리 많지 않은 데 비해 작품의 내용에 편차가 크고 주제도 엇갈리는 편이어서 좀 더 정확하고 바람직한 감상을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고소설은 필사(筆寫)라는 방식을 통해 전승·유통되었는데, 필사는 일회적 독서나 단순 향유가 아닌 적극적이고도 능동적인 향유 방식이다. 왜냐하면 필사 과정에 향유자의 입장이나 의식이 개입되기 마련이어서 글자나 표현 차원의 단순한 개작은 물론이고 인물 묘사나 내용의 변개, 특히 결말 개작을 통한 주제의 변개 등 심각하고 전면적인 개작이 일어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서동지전>이 이본 계열 사이에서 상이한 모습을 보이는 것은 이러한 유통 방식과 연관이 깊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