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이전

열이전

<열이전> ≪열이전≫은 귀신, 요괴, 신선, 도술, 저승, 유혼(幽婚), 기이한 물건, 재생, 변신, 민간 전설 등의 다양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위진남북조 지괴소설의 전형적인 내용이 된다. 위(魏) 문제(文帝) 조비(曹丕)가 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서는 3권이었으나 남송대(南宋代) 이후에 이미 망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일문(佚文)이 여러 유서(類書)에 산재되어 총 51조가 남아 있는데, 현재 남아 있는 일문을 통해 ≪열이전≫의 대체적인 면모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열이전≫의 찬자설

≪열이전≫의 최초 저록(著錄)은 당나라 때 편찬된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 잡전류(雜傳類)에 보이는데 “≪열이전≫ 3권, 위 문제 찬”이라 했으며, 잡전류 소서(小序)에서도 “위 문제가 또 ≪열이전≫을 지어 귀물의 기괴한 일을 기록했다”고 분명히 밝혔다. 또한 당나라 우세남(虞世南)의 ≪북당서초(北堂書鈔)≫, 이현(李賢)의 ≪후한서(後漢書)≫ 주, 서견(徐堅)의 ≪초학기(初學記)≫ 등도 ≪열이전≫을 인용하고 찬자를 위 문제라고 기록했다. 송나라 정초(鄭樵)의 ≪통지(通志)≫ <예문략(藝文略)>에도 ≪수서≫ <경적지>와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상의 기록에 따라, ≪열이전≫의 원서는 본래 3권이었으며 그 찬자는 위 문제 조비임이 분명해 보인다. 또한 조비는 박물(博物)에 관심이 많았고 <절양류행(折楊柳行)>과 같은 유선시(遊仙詩)를 지은 것으로 보아 그가 찬자라는 데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오대(五代) 때 편찬된 ≪구당서(舊唐書)≫ <경적지> 잡전류에는 “≪열이전≫ 3권, 장화(張華) 찬”이라 저록되어 있고, 송나라 때 편찬된 ≪신당서(新唐書)≫ <예문지(藝文志)> 소설가류(小說家類)에는 “장화 ≪박물지≫ 10권, 또 ≪열이전≫ 1권”이라 저록되어 있으며, 송나라 왕흠약(王欽若)의 ≪책부원귀(冊府元龜)≫ <국사부(國史部)>에는 “장화 찬 ≪열이전≫ 3권”이라 저록되어 있는데, 어디에 근거해 찬자를 장화라고 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현재 ≪열이전≫의 일문 가운데 <왕신(王臣)> 고사는 위 명제(明帝) 경초(景初) 연간(237∼239)의 일이고, <왕주남(王周南)> 고사는 제왕(齊王) 정시(正始) 연간(240∼249)의 일이며, <현초(弦超)> 고사(제32조)는 제왕 가평(嘉平) 연간(249∼254)의 일이다. 이 시기는 모두 조비의 사후에 해당하므로 후대 사람이 찬입(竄入)한 것으로 보이는데, 서진(西晉) 장화(232∼300)의 활동 시기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찬자가 장화일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청나라 요진종(姚振宗)은 ≪수서경적지고증(隋書經籍志考證)≫에서 “장화가 문제(文帝)의 책을 이어 지었는데 후대 사람이 그것을 합친 것으로 여겨진다”라고 하면서, 본래 조비가 찬하고 장화가 그것의 속편을 짓거나 증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열이전≫의 찬자에 관해 조비설, 장화설, 장화의 속작설이 있다. ≪열이전≫의 최초 찬자는 조비인 것이 분명해 보이지만 이는 주변의 이야기를 모아서 만든 개방적인 볼거리였기에 이후 장화 혹은 다른 후대 사람이 재편(再編)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남송대 이후의 전적에는 ≪열이전≫에 대한 저록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그것은 남송대 이후에 망실된 것으로 보인다. ≪열이전≫의 일문은 루쉰(魯迅)의 ≪고소설구침(古小說鉤沈)≫에 총 49조가 집록되어 있고 그 후에 2조가 더 발견되어, 현재 총 51조가 남아 있다.

≪열이전≫의 가치

≪열이전≫은 위진남북조 최초의 지괴소설로서 후대 지괴소설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동진(東晉) 간보(干寶)의 ≪수신기(搜神記)≫다. 현재 ≪수신기≫에는 ≪열이전≫의 고사 25조가 채록되어 있는데, 일부 고사는 그대로 전해져 기록되어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본래 고사보다 훨씬 편폭이 길고 구성이 짜임새 있으며 문학성이 높게 묘사되어 있다. ≪열이전≫의 고사 중에서 지괴소설 최초의 유혼 고사로 여겨지는 <담생(談生)>, 어수룩한 귀신을 속이고 팔아서 돈을 번다는 내용의 <송정백(宋定伯)>, 협객을 통해 억울하게 죽은 부친의 원수를 갚는다는 내용의 <삼왕 무덤(三王冢)> 등은 묘사가 생동감 넘치고 고사성이 풍부해 후대까지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