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경

신이경

<신이경> 한대(漢代) 동방삭(東方朔)이 편찬하고 진대(晉代) 장화(張華)가 주를 단 소설. 변방의 기괴한 신이나 짐승, 신기한 사물들에 대한 상상력을 마음껏 펼쳐 보임으로써 중국 소설의 상상력의 원동력이 되었다. ≪신이경≫의 풍자와 해학에서 회해미(?諧美)의 진수를 볼 수 있다.

≪신이경(神異經)≫은 한대(漢代) 동방삭(東方朔)이 편찬하고 진대(晉代) 장화(張華)가 주를 단 한대(漢代) 소설로 전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이 전혀 전해지지 않아 우리는 여러 가설과 추측으로 접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신이경≫을 비롯한 ≪십주기(十洲記)≫, ≪한무내전(漢武內傳)≫, ≪한무고사(漢武故事)≫, ≪동명기(洞冥記)≫ 등 한대에 지어졌다고 전해지는 소설들은 진대(晉代) 이후의 방사(方士)들이 자신들의 종교를 신비화하기 위해 저술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신이경≫ 도처에서 발견되는 신선사상(神仙思想), 방술(方術),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팔괘(八卦)에 입각한 체재 등은 저자가 방사 출신이었음을 증명해 준다. 예컨대 <동황경>에는 열한 개 조목 중 나무에 관계된 조목이 일곱 개나 나오며 그 밖에 <남황경>에서 여름과 불을 상징하는 ‘화서(火鼠)’와 ‘한발(旱魃)’, <서황경>에서 금속성의 메마르고 거친 땅의 이미지가 묘사된 ‘금산(金山)’, <북황경>에서 겨울과 물을 상징하는 ‘계서(磎蹊)’와 ‘횡공어(橫公魚)’ 등은 ≪신이경≫의 서사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조목들이라 하겠다.
뿐만 아니라 ≪신이경≫의 팔방(八方) 개념은 ≪주역(周易)≫ 팔괘와의 상관성을 연상시킨다. 아마도 <동남황경(東南荒經)>의 ‘지호(地戶)’와 <서북황경(西北荒經)>의 ‘천문(天門)’ 등이 그 예가 될 것인데, ≪신이경≫에서의 방위 개념은 후천팔괘도(後天八卦圖)의 팔괘 방위에 의해 성립된 것으로 보인다. ≪주례(周禮)≫ <대사도(大司徒)> ‘소(疏)’에 인용된 <하도괄지상(河圖括地象)>에 ‘하늘은 서북쪽으로 꺼지고 땅은 동남쪽으로 꺼졌다. 서북쪽은 천문이 되고 동남쪽은 지호가 된다(天不足西北, 地不足東南. 西北爲天門, 東南爲地戶)’라고 되어 있다. 또 ≪역위건착도(易緯乾鑿度)≫에 ‘건(乾)이 천문이 되고 손(巽)이 지호가 된다(乾爲天門, 巽爲地戶)’라고 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신이경≫의 체재는 건(乾)이 동북쪽에 위치하고 손(巽)이 동남쪽에 위치한 후천팔괘도의 팔괘의 방위에 근거했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이 다른 지리박물지(地理博物志) 형식의 작품들, 즉 ≪산해경≫이나 ≪십주기(十洲記)≫, ≪박물지(博物志)≫ 등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신이경≫만의 특징을 이루고 있다. ≪신이경≫은 크게 <동황경(東荒經)>, <동남황경(東南荒經)>, <남황경(南荒經)>, <서남황경(西南荒經)>, <서황경(西荒經)>, <서북황경(西北荒經)>, <북황경(北荒經)>, <동북황경(東北荒經)>, <중황경(中荒經)> 아홉 편으로 나누어져 있다. 지상(地上)을 중앙, 정사방(正四方)과 사간방(四間方)으로 9등분한 뒤 일정한 방위 개념에 입각해 변경의 기이한 사물들을 서술해 나가는 것이 ≪신이경≫ 체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중국 신화서인 ≪산해경(山海經)≫과 유사하나 ≪산해경≫이 중앙과 동서남북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에 비해 ≪신이경≫은 중앙과 팔방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러한 방위 개념은 음양오행설과 팔괘와 결합되어 ≪신이경≫ 체재의 특징들을 만들어내는 토대가 된다.
≪신이경≫은 지리서적 외형(外形)을 빌려와 각 변방의 사물에 대해 기록한 서술 방식부터 ≪산해경≫과 매우 유사하며 ≪수서≫ <경적지>나 ≪구당서≫ <경적지>, ≪숭문총목≫ 등에서 ≪산해경≫과 나란히 지리류(地理類)로 분류되기도 했다. ≪신이경≫은 분명 ≪산해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작품임에 틀림없지만 도교 설화(道敎說話)의 색채가 더욱 가미된 모티프들은 새로운 의경(意境)을 창출해 내고 있어 중국 소설의 상상력의 원동력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이경≫은 변방에 있는 기괴한 신이나 짐승, 신기한 사물들에 대한 상상력을 마음껏 펼쳐 보이면서도 동시에 ≪신이경≫만의 독특한 개성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특히 괴걸(怪傑) 동방삭의 명성에 힘입어 위상을 지켜왔던 ≪신이경≫의 풍자와 해학은 ≪십주기(十洲記)≫나 ≪한무내전(漢武內傳)≫, ≪동명기(洞冥記)≫ 등의 지괴소설(志怪小說)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회해미(?諧美)의 진수를 보여주고 있다.

본 편역은 ≪사고전서(四庫全書)≫를 저본(底本)으로 하되 주를 달거나 교감을 하는 과정에서 대만(臺灣) 왕궈량(王國良)의 ≪신이경 연구(神異經硏究)≫[문사철출판사(文史哲出版社), 1985]와 저우츠지(周次吉)의 ≪신이경 연구(神異經硏究)≫[문진출판사(文津出版社), 1986]를 참조했다. 현재 ≪신이경≫ 판본은 송(宋), 원(元)대까지 산발적으로 흩어져 전해지다가 명대(明代)에 와서야 단행본으로 정리된 것이다. 이 때문에 각 유서(類書)들에 전해지는 판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편역 과정에서 다양한 서적들을 참조해 가능한 가장 완전한 문장의 형태를 갖추도록 교감하려고 노력했다. 주(注)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어려운 한자들의 뜻을 풀이했고, 원문을 고증하고 교감한 내력에 대해 비교적 꼼꼼하게 제시했다. 내용이 중복되어 전해지는 조목을 제외하고 ≪신이경≫의 거의 모든 원문에 대해 역주를 시도했고, 현재 전해지는 ≪신이경≫ 판본에는 남아 있지 않으나 다른 서적들에 흩어져 전해지는 일문(佚文)까지 수록했다. 이에 본 편역은 일반 독자들의 교양을 위한 서적이 될 뿐 아니라 학술적인 가치까지 갖추었다고 할 수 있겠다.

더보기

컬렉션

제일 먼저 리뷰를 달아보시겠어요? 첫 리뷰를 써보세요!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리뷰를 남겨보세요!
취향을 분석하여, 웹소설을 추천해드려요!
웹소설 추천받기

TOP 30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가장 인기 있는 웹소설을 만나보세요!
많은 분들이 좋아하신 작품들이에요!
TOP 30 작품보기

플랫폼 베스트를 확인해보세요!

플랫폼별로 너무나도 다른 인기작품들!
본인 취향에 맞는 플랫폼을 찾아보세요!
플랫폼 베스트 작품보기

보고싶은 웹소설이 있으신가요?

웹소설이 내 취향에 맞는걸까?
다른 분들이 남긴 리뷰를 확인해보세요!
웹소설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