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마시는 새

눈물을 마시는 새 완결

<눈물을 마시는 새 세트> 지배자에 대한 진지한 이해와 접근을 시도한 새로운 형태의 환상 소설
2차 세계 대전 중에 절대 악과 그 악에 맞서서 권력을 좌지우지해야 했던 권력자들의 갈등을 소설로 담아낸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이 반세기가 지나도록 많은 독자에게 읽혀진 이유는 권력의 상징인 ‘왕’과 그 주변 권력의 내부를 샅샅이 파헤칠 수 있는 봉건 시대를 바탕으로 씌어진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타지 소설만이 가진 이 독특한 특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조건을 요구하게 되었다. 냉전 체제가 무너지고 권력의 질서가 재편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다룰 새로운 화두가 절실히 필요했던 것이다. 『눈물을 마시는 새』는 그러한 화두에 대한 도전작이라고 볼 수 있다. 작품 전체를 아우르는 단어인 ‘왕’이라는 단어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눈물을 마시는 새』에는 ‘왕’에 대한 일방적인 숙원(자신이 왕이 되고자 하거나 혹은 왕의 추종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등장인물들이 등장하여 사건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시키거나, 왕에 대해 끊임없이 논의하고 추리함으로써 ‘지배자 계급이란 무엇인가?’라고 독자에게 묻고 있다. 그러면서도 작가는 작품의 제목에서 자신만의 해답을 풀어낸다. 제목인 ‘눈물을 마시는 새’라는 뜻은 작품 속에서 ‘백성들이 흘려야 할 눈물을 대신 마시는 왕’을 뜻한다. 이 뜻은 군왕의 조건은 많은 병력이나 부, 혹은 재능이 아니라 백성들이 슬픔이나 죄책감 등 수많은 고통을 대신 짊어져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왕이 대신 마셔주는 눈물 덕에 백성들은 잔인해질 수 있고, 얼마든지 남을 핍박하고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눈물’은 인간이 해롭기에 몸 밖으로 뱉어내는 것이고, 이를 마신 왕은 오래 살 수도 없다. 작가는 제목과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단어인 권력자 ‘왕’에 대해 막연한 환상만을 갖고 있는 인간에게 ‘왕-지배자’라는 것이 갖는 무거움과 본연의 뜻, 그리고 그러한 인간의 상징물로 내세워진 ‘왕’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공포를 환상 소설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전한다.

이영도 식의 독특한 설정과 이야기 진행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도 이전의 작품처럼 이영도 식의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이야기가 독자의 눈을 사로잡는다. 특히 넷으로 구분된 색다른 종족들은 작품의 스토리와 부합되어 사건의 요소요소에서 새로운 반전을 일으키게 한다. 이중 가장 눈에 띄는 종족은 역시 현대의 인간과 흡사한 인간족이다. 왕이 되고자 하는 제왕병자들이 가득하고, 저마다 자신의 세력을 키우지만 정작 네 종족 중 가장 나약한 종족이라는 점은 모순으로 가득 찬 인간의 단면을 보여준다. 다른 종족도 이와 비슷한 모순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닭의 모습을 닮은 레콘 족은 3미터에 이르는 큰 키와 강인한 체력, 그리고 신의 선물인 무기를 갖고 있기에 네 종족 중 개인의 무력으로는 가장 강력하다고 볼 수 있지만 철저히 자신의 숙원만을 이루려는 개인주의 때문에 종족이 단합할 수 없고 언제나 홀로 싸우는 약점을 갖고 있다. 불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도깨비는 마음만 먹으면 일거에 수십만을 죽일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폭력과 피를 두려워하는 까닭에 세상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한다. 뱀처럼 비늘이 있고 변온 체질인 나가는 인간의 ‘말’이 아닌 정신적 교감인 ‘니름’을 통해 의사를 주고받으며 심장을 적출함으로써 반(半 )불사의 몸이 되었지만, 변온 체질이어서 북부 지방의 저온을 이겨내지 못하는 체질적 한계를 갖고 있다. 작품 전체의 종족들 중 그 어떠한 종족도 완벽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한다.

작품 속에 사용되는 속담이나 격언 등도 종족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독자의 흥미를 돋운다. 물을 두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레콘의 경우 ‘붕어 저택에 빠져 죽을’, ‘녹은 얼음을 뒤집어 쓸’과 같은 욕설이 나오기도 하며, 말 대신 니름이라는 정신적 언어를 사용하는 나가들은 ‘니름도 안 된다(말도 안 된다)’, ‘니름 잘라먹지 마라(말 잘라먹지 마라)’ 같은 변종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종족을 초월하여 등장하는 ‘군령자’나 ‘유료 도로당’ 또한 독특한 이영도 식의 소설에서만 맛볼 수 있는 것들이다. 군령자는 한 육체에 오랜 시간 동안 여러 명의 영혼이 깃든 것으로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서 이와 비슷한 육체를 목격할 수 있다. 영생하고자 하는 생명체의 욕구로 인해 탄생한 이 군령자는 항시 ‘더 이상 전령하지 않고 죽겠다.’고 주장하지만 결국 죽을 때에 이르러서는 영생을 위해 남에게 전령하는 나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유료 도로당’이라는 단체는 작품 속에서 길을 정비하는 대신 통행세를 받는 이들로서, 돈을 지불하고 도로를 이용하는 여행객은 고객이며, 무임으로 이용하는 여행객은 무조건 적으로 규정하는 독특한 단체이다. 하지만 그 철저한 규정으로 인해 인간 전체의 적조차도 돈을 지불하기만 하면 고객으로 규정하는 모순에 빠지기도 한다.

더보기

컬렉션

평균 4.62 (1350명)

hol****
hol**** LV.10 작성리뷰 (8)
5점 만점에 10점을 주고 싶네요.
2019년 11월 22일 2:58 오후 공감 3 비공감 0 신고 0
웹소중독
웹소중독 LV.14 작성리뷰 (17)
이영도 작가의 최고 걸작. 이만한 판타지 작품이 다시 한국에서 나올 수 있을까.
2020년 8월 17일 7:08 오전 공감 3 비공감 0 신고 0
동희
동희 LV.5 작성리뷰 (1)
만약 내가 자식을 낳는다면 단 하나만을 요구할 것이다.

"눈마새 독후감"
2021년 11월 12일 9:39 오후 공감 3 비공감 0 신고 0
Min1929
Min1929 LV.18 작성리뷰 (23)
이게 대작이지
2021년 12월 11일 1:47 오후 공감 3 비공감 1 신고 0
위시헌터
위시헌터 LV.24 작성리뷰 (50)
이영도 작품 중 가장 이질적인 작품이라고 봐도 무방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게 이영도 입문작을 추천하라면 항상 이걸 꼽고야 마는 모순이 일어나고야 마는 걸작.

이영도 소설의 단점은, 그러니까 굳이 꼽으라고 하면, 항상 결말 부분에서 관념이 서사를 집어삼킨다는 점인데 이 작품은 그런 단점조차 없다. 즉, 이 작품은 이영도 작품 중에 소설적 완성도로만 따지면 제일 높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가뜩이나 긴 호흡으로 이어 가는 작품인데다 꼼꼼하고 치밀하게 배치된 복선들을 하나라도 놓치면 뒷 이야기가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게 요즘 트렌드에 맞지 않는 점이긴 한데 뭐 그거야 취향 문제지 이 글의 문제는 아니지 않는가.

더보기

2022년 7월 23일 12:35 오후 공감 3 비공감 0 신고 0
걷는 이
걷는 이 LV.8 작성리뷰 (5)
명작
2023년 1월 11일 12:58 오전 공감 3 비공감 0 신고 0
pepki
pepki LV.14 작성리뷰 (16)
2019년 11월 14일 11:06 오전 공감 2 비공감 1 신고 0
HClO
HClO LV.21 작성리뷰 (38)
다시봐도 재밌는 명작
2019년 11월 16일 9:41 오후 공감 2 비공감 1 신고 0
밝은기둥
밝은기둥 LV.19 작성리뷰 (27)
그저 갓갓
2019년 11월 29일 11:16 오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ㅇㅅㅇb
ㅇㅅㅇb LV.9 작성리뷰 (6)
언젠가 할리우드 레벨의 기술력으로 왕좌의 게임처럼 드라마해줬으면 하는게 평생 소원이다. 한국의 톨킨 그 자체
2019년 11월 30일 1:02 오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데이라이트
데이라이트 LV.5 작성리뷰 (1)
이 책을 넘을 별 5개짜리 한국 판타지가 나올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게 하는 작품
2019년 11월 30일 8:16 오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보신탕
보신탕 LV.35 작성리뷰 (78)
둘이 하나가 되었군.
2019년 11월 30일 10:55 오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캡틴카셀
캡틴카셀 LV.5 작성리뷰 (1)
한국 환상문학 최고봉
2019년 12월 4일 10:58 오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매취스틱
매취스틱 LV.22 작성리뷰 (35)
최고의 세계관
특히 4종적의 특징들이 굉장히 재미있었던 소설
2019년 12월 9일 12:20 오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Hyung Seok Song
Hyung Seok Song LV.6 작성리뷰 (2)
피마새보다는 눈마새가 더 재밌음
2019년 12월 20일 12:48 오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뭘 하고있나
뭘 하고있나 LV.24 작성리뷰 (43)
눈마새 재밌지
2020년 10월 29일 4:41 오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답답한소설
답답한소설 LV.19 작성리뷰 (32)
고딩때 봤었는데 취향이 잘 맞지 않아서인지 아니면 필체가 나랑 맞지 않아서인지

그렇게 잘 읽히지는 않았다.

나중에 다시 읽을 생각이지만 일단 그때으 기억으로 평점을 남김
2021년 10월 18일 10:42 오후 공감 2 비공감 1 신고 0
성심좋아
성심좋아 LV.39 작성리뷰 (151)
근본.
2022년 9월 19일 8:26 오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LaughGhost
LaughGhost LV.21 작성리뷰 (41)
이영도 작가님의 새 시리즈 작품들은 개인적으로 읽기 정말 힘들었습니다.
눈마새도 꾸역꾸역 읽었구요.
피마새는 읽다가 중간에 책을 내려놨습니다.
저에게 이 시리즈는 새로운 세계와 설정을 보여줬다는 거 말고는 없네요.
소설을 봐 나가면서 머릿속에 한 가지 생각이 떠올랐습니다.
드래곤라자를 읽다가 덮었던 기억이요.
독파해나가는 것이 힘들고 지루했습니다.
그 이유가 설정이나 세계관이 친숙하지 못했기 때문은 아닙니다.
라자에서는 인물들과 그들이 겪었던 사건 사고들이 매력이 있었어요.
과거의 일들이 이야기로 절 끌어들였습니다.
완결까지 다 봤고, 제 기억에 명작으로 남았죠.
그러나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는 그렇지 못했습니다.
특히, 두억시니들이 나오는 곳에서는 붕 뜨는 느낌이 들더군요.
소설의 전개에서 엔딩까지 가려면 필요하긴 했을 거에요.
제가 느끼는 작가님의 글들 특징이 있습니다.
주제 의식이나 의미가 다른 웹소설들에 비해서 담으려고 합니다.
작품들에 담깁니다.
하지만 그 속에서 재미 요소를 느끼지 못하면, 어렵고 난해한 소설이 돼 버립니다.
설정들이나 인물들의 대사, 네 마리 형제새 이야기는 매우 흥미진진합니다.
그런데 그게 책을 찾게 만들었을 뿐입니다.
이 새는 저에게 하나의 교훈을 줬습니다.
사람들이 명작이라고 칭송한다고 해서
그게 저를 만족시켜주지는 않는다는 깨달음이요.



더보기

2023년 1월 27일 11:59 오후 공감 2 비공감 5 신고 0
조가
조가 LV.32 작성리뷰 (91)
군대 신병휴가때 전권 사서 읽음. 군대에서 동기들이랑 다같이 돌려봄.
2023년 4월 14일 11:27 오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사나이황준석
사나이황준석 LV.26 작성리뷰 (64)
너무 맛있다.

이영도 소설은 다른 것도 다 좋지만

이건 소설이라서 재미있다고 느끼게 되는 문장들이 있다.

다른 매체로는 도저히 이 재미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눈마새 팬으로서 게임도 기대되긴 하는데 소설의 재미를 옮길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2023년 5월 14일 10:44 오전 공감 2 비공감 0 신고 0
드워프광전사
드워프광전사 LV.14 작성리뷰 (13)
이거 웹연재 한 적은 있지만 돈받고 판 적 없지 않냐??
황금가지 플랫폼에서 웹소설로 파냐? ㅋㅋ
2019년 11월 18일 7:22 오후 공감 1 비공감 1 신고 0
해바라기
해바라기 LV.9 작성리뷰 (8)
웹소설 있긴 함?
2019년 11월 26일 5:20 오후 공감 1 비공감 0 신고 0
종길
종길 LV.16 작성리뷰 (25)
한국 판타지 원탑 긴말이 필요없다
2019년 11월 30일 12:52 오전 공감 1 비공감 0 신고 0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