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마시는 새

눈물을 마시는 새 완결

<눈물을 마시는 새 세트> 지배자에 대한 진지한 이해와 접근을 시도한 새로운 형태의 환상 소설
2차 세계 대전 중에 절대 악과 그 악에 맞서서 권력을 좌지우지해야 했던 권력자들의 갈등을 소설로 담아낸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이 반세기가 지나도록 많은 독자에게 읽혀진 이유는 권력의 상징인 ‘왕’과 그 주변 권력의 내부를 샅샅이 파헤칠 수 있는 봉건 시대를 바탕으로 씌어진 소설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판타지 소설만이 가진 이 독특한 특성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조건을 요구하게 되었다. 냉전 체제가 무너지고 권력의 질서가 재편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를 다룰 새로운 화두가 절실히 필요했던 것이다. 『눈물을 마시는 새』는 그러한 화두에 대한 도전작이라고 볼 수 있다. 작품 전체를 아우르는 단어인 ‘왕’이라는 단어가 이를 대변하고 있다.『눈물을 마시는 새』에는 ‘왕’에 대한 일방적인 숙원(자신이 왕이 되고자 하거나 혹은 왕의 추종자가 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진 등장인물들이 등장하여 사건을 전혀 다른 방향으로 전개시키거나, 왕에 대해 끊임없이 논의하고 추리함으로써 ‘지배자 계급이란 무엇인가?’라고 독자에게 묻고 있다. 그러면서도 작가는 작품의 제목에서 자신만의 해답을 풀어낸다. 제목인 ‘눈물을 마시는 새’라는 뜻은 작품 속에서 ‘백성들이 흘려야 할 눈물을 대신 마시는 왕’을 뜻한다. 이 뜻은 군왕의 조건은 많은 병력이나 부, 혹은 재능이 아니라 백성들이 슬픔이나 죄책감 등 수많은 고통을 대신 짊어져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왕이 대신 마셔주는 눈물 덕에 백성들은 잔인해질 수 있고, 얼마든지 남을 핍박하고 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눈물’은 인간이 해롭기에 몸 밖으로 뱉어내는 것이고, 이를 마신 왕은 오래 살 수도 없다. 작가는 제목과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단어인 권력자 ‘왕’에 대해 막연한 환상만을 갖고 있는 인간에게 ‘왕-지배자’라는 것이 갖는 무거움과 본연의 뜻, 그리고 그러한 인간의 상징물로 내세워진 ‘왕’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공포를 환상 소설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전한다.

이영도 식의 독특한 설정과 이야기 진행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도 이전의 작품처럼 이영도 식의 독특하고 신비스러운 이야기가 독자의 눈을 사로잡는다. 특히 넷으로 구분된 색다른 종족들은 작품의 스토리와 부합되어 사건의 요소요소에서 새로운 반전을 일으키게 한다. 이중 가장 눈에 띄는 종족은 역시 현대의 인간과 흡사한 인간족이다. 왕이 되고자 하는 제왕병자들이 가득하고, 저마다 자신의 세력을 키우지만 정작 네 종족 중 가장 나약한 종족이라는 점은 모순으로 가득 찬 인간의 단면을 보여준다. 다른 종족도 이와 비슷한 모순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닭의 모습을 닮은 레콘 족은 3미터에 이르는 큰 키와 강인한 체력, 그리고 신의 선물인 무기를 갖고 있기에 네 종족 중 개인의 무력으로는 가장 강력하다고 볼 수 있지만 철저히 자신의 숙원만을 이루려는 개인주의 때문에 종족이 단합할 수 없고 언제나 홀로 싸우는 약점을 갖고 있다. 불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도깨비는 마음만 먹으면 일거에 수십만을 죽일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폭력과 피를 두려워하는 까닭에 세상에 아무런 영향도 주지 못한다. 뱀처럼 비늘이 있고 변온 체질인 나가는 인간의 ‘말’이 아닌 정신적 교감인 ‘니름’을 통해 의사를 주고받으며 심장을 적출함으로써 반(半 )불사의 몸이 되었지만, 변온 체질이어서 북부 지방의 저온을 이겨내지 못하는 체질적 한계를 갖고 있다. 작품 전체의 종족들 중 그 어떠한 종족도 완벽하지 못한 상태를 유지한다.

작품 속에 사용되는 속담이나 격언 등도 종족적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독자의 흥미를 돋운다. 물을 두려워하는 특성을 가진 레콘의 경우 ‘붕어 저택에 빠져 죽을’, ‘녹은 얼음을 뒤집어 쓸’과 같은 욕설이 나오기도 하며, 말 대신 니름이라는 정신적 언어를 사용하는 나가들은 ‘니름도 안 된다(말도 안 된다)’, ‘니름 잘라먹지 마라(말 잘라먹지 마라)’ 같은 변종 언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종족을 초월하여 등장하는 ‘군령자’나 ‘유료 도로당’ 또한 독특한 이영도 식의 소설에서만 맛볼 수 있는 것들이다. 군령자는 한 육체에 오랜 시간 동안 여러 명의 영혼이 깃든 것으로 영화 『존 말코비치 되기』에서 이와 비슷한 육체를 목격할 수 있다. 영생하고자 하는 생명체의 욕구로 인해 탄생한 이 군령자는 항시 ‘더 이상 전령하지 않고 죽겠다.’고 주장하지만 결국 죽을 때에 이르러서는 영생을 위해 남에게 전령하는 나약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유료 도로당’이라는 단체는 작품 속에서 길을 정비하는 대신 통행세를 받는 이들로서, 돈을 지불하고 도로를 이용하는 여행객은 고객이며, 무임으로 이용하는 여행객은 무조건 적으로 규정하는 독특한 단체이다. 하지만 그 철저한 규정으로 인해 인간 전체의 적조차도 돈을 지불하기만 하면 고객으로 규정하는 모순에 빠지기도 한다.

더보기

컬렉션

평균 4.62 (1350명)

yon****
yon**** LV.17 작성리뷰 (29)
인생 최고의 작품.
볼일 보면서도 놓을 수 없는 최고의 명작
2020년 10월 23일 3:03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오인84
오인84 LV.34 작성리뷰 (106)
아직도 너만한게 없어 영도야
2020년 10월 24일 7:07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Hazek
Hazek LV.20 작성리뷰 (35)
명작을 꼽으라면 빠지지 않음
적절한 호흡이나 필력과
새로운 세계관을 확립하여 드래곤과 오크가안나오는 판타지 구축
2020년 10월 25일 10:38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파스리
파스리 LV.16 작성리뷰 (24)
명작. 무슨 말이 더 필요한가.
단, 고전을 싫어하는 사람은 보지 말 것.
2020년 11월 10일 2:1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Named Zero
Named Zero LV.27 작성리뷰 (66)
결말의 허무함과 속편의 아쉬움을 빼면 완벽한 작품
시대를 타지 않는 독창적인 작품이지만 그만큼 진입장벽이 높다.
2020년 11월 14일 12:16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Rchemists
Rchemists LV.16 작성리뷰 (24)
말이 필요한가 한권이라도 읽어봤다면 별5개가 기본.
여태껏 읽어본 그어느 작품보자 뛰어남.
처음부터 끝까지 감탄을 하며봤던 작품
2020년 11월 23일 2:3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용산CGV
용산CGV LV.23 작성리뷰 (43)
새로운 설정이 정말 재밋던 작품 캐릭터 하나하나가 살아있음.
2020년 12월 17일 9:19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24K
24K LV.16 작성리뷰 (25)
명작
2020년 12월 21일 2:32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t hx
t hx LV.13 작성리뷰 (13)
말이 필요한가? 한국 판타지의 간판작.
2020년 12월 21일 5:26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하란
하란 LV.16 작성리뷰 (24)
장르소설 좋아하는사람이라면 다섯손가락에서 이작품을 안꼽는 이가없을거라생각
티나한 케이건 비형 사모페이 아직도 등장인물들을 떠올리면 극의 한장면이 눈에선하다.

이작품보고 재미가부족하네 운운하는 동태눈깔들은 가서 상태창이나 읽으렴

2021년 1월 1일 4:05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앵백
앵백 LV.16 작성리뷰 (24)
영원한 인생명작. 항상 내 마음 속 1위인 소설
2021년 1월 9일 2:08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bx****
bx**** LV.40 작성리뷰 (144)
한국형 판타지의 시작
느린 호흡에서 느껴지는 묵직한 스토리와 묘사
참신하고 깊은 세계관
시대와 상관없이 천천히 읽기 좋은 소설.
2021년 1월 19일 7:52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ragrad****
ragrad**** LV.35 작성리뷰 (109)
말이필요없는 명작 주변인들에게 부담없이 추천할수있는 명작
2021년 1월 27일 8:46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콤콤
콤콤 LV.22 작성리뷰 (42)
말이필오없는 명작
2021년 2월 8일 1:28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소설미디어
소설미디어 LV.17 작성리뷰 (21)
웹소에 길들여진 나로선 보기가 힘들다.
근데 별점은 5점을 줄 수밖에 없다.
2021년 3월 1일 2:07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aaasss aaa
aaasss aaa LV.11 작성리뷰 (11)
이영도의 소설의 결말을 좋아하진 않는다 열린결말이 아니라 엉성한 결말을 내곤한다. 예를들자면 전자는 스티븐킹의 소설을 후자는 무라카미 하루키나 이외수 같은사람들의 소설을 생각하면좋다. 하지만 피를마시는 새와 눈물을마시는 새는 마지막에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 개인적으로 호불호없이 읽을수있는 몇없는 이영도소설중 하나
2021년 3월 2일 2:04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박영준
박영준 LV.17 작성리뷰 (25)
12군번.. 군대에서 PMP로 읽었던 작품, 내용이 정확히 기억나진 않지만 세계관이 너무 흥미롭고 잘 짜여졌다는 생각이 들었었음.. 이걸 왜 여태까지 안 읽었지 생각도 들었었고
2021년 3월 9일 8:08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홍장어
홍장어 LV.82 작성리뷰 (629)
한국 소설 중에서 완성도가 높은 소설을 몇가지 꼽으라고 하면 당당히 이 작품을 얘기할 수 있다
2021년 3월 26일 5:4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youngmin son
youngmin son LV.40 작성리뷰 (155)
순문학적인 재미와 장르소설의 재미가 함께 있음.
명작.
2021년 3월 26일 5:47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덮덮
덮덮 LV.31 작성리뷰 (91)
워낙 늦게 접하게 되었습니다.

유명한 만큼 화려한 글솜씨로 작품을 이끌어가는 점이 굉장히 매력적이었습니다.

특히 주요 인물의 매력은 여느 작품에서 따라오기 힘든 풍부한 매력을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요즘 트렌드에 너무 익숙한 나머지 다소 느리고 장황한 전개가 이어진다는 느낌도 받았습니다.

그럼에도 충분히 읽을만한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2021년 3월 29일 3:00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samo
samo LV.19 작성리뷰 (36)
보다가 하차
지루함.
2021년 4월 6일 5:48 오후 공감 0 비공감 8 신고 0
은가누
은가누 LV.43 작성리뷰 (117)
GOAT
2021년 4월 11일 10:4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연위
연위 LV.18 작성리뷰 (30)
갓직히 피마새 눈마새 룬의아이들 드래곤라자 세월의돌 등 그때 소설들은 건들지말자
2021년 4월 12일 7:56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내옆놈을노려
내옆놈을노려 LV.9 작성리뷰 (6)
한국형 판타지의 정점. 더 붙일 말도 없고 그럴 필요조차 없다
2021년 4월 13일 10:23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