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백주 대낮에 국회의원이 괴한에게 살해당한다. 수사팀의 형사 장욱은 친구 원철로부터 첨단 온라인 게임 '팔란티어' 속 캐릭터와 괴한이 비슷하다는 말을 듣고 게임 속에서 보다 많은 단서를 찾아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무의식으로 조종하는 원철의 게임 캐릭터 '보로미어'가 예상에 없던 돌출 행동을 일삼아 컨트롤에 애를 먹는다. 진척이 더디자 형사 장욱은 게임 회사를 급습하고, 살인자의 물품을 빼돌려 조사하는 등 동분서주하지만 오히려 의문의 세력으로부터 강압적 수사 압력을 받고 수사팀에서 제외되고 만다. 그 와중에 원철은 '팔란티어' 안에서 우연히 괴한의 흔적을 발견하고, 수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과연 살인 사건과 온라인 게임은 연관된 것인가?
현대 스릴러 소설이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
'팔란티어'의 최대 장점은 모든 독자들이 인정하는 굉장한 흡인력이다. 네이버의 문답 게시판에서 한 독자는 이 책에 대해 ""어떤 연령층 어떤 독자라도 재미만은 100% 느낄 수 있다""라고 강조할 정도로 손에 잡으면 놓을 수 없는 확실한 재미를 보장한다. 첨단 기술을 둘러싼 각종 음모론과 서울대학병원 전임의 출신의 작가가 선보이는 정신 의학적 복선은 현대 스릴러 소설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다. 댄 브라운의 '디지털 포트리스' 나 로빈 쿡의 '의학 소설 시리즈' 등 해외 유명 스릴러들도 이러한 요소가 적절히 조합되어 밀리언셀러 반열에 오를 수 있었다. 국내에서는 테크노 스릴러와 심리 스릴러가 결합된 방식은 '팔란티어'가 처음 선보인다.
현대의 온라인 게임 중독을 예견하고 비판한 화제작
한국은 지난 5년 사이에 무려 72%의 초고속 인터넷 보급율이라는 세계 최고의 IT 국가로서 거듭났으나 급성장에 따른 부작용으로 2000년 불과 1000여 건에 달하던 사이버 범죄가 5년만에 10만여 건으로 폭증했으며, 이중 50%는 온라인 게임 중독으로 인해 벌어지는 범죄이다(경찰청 수사국 발표). 정보문화진흥원 발표에 따르면 청소년 10명 중 3명이 게임중독 증세를 보며, 온라인 게임으로 범죄에 빠져든 청소년은 연간 1만여 명에 이른다고 한다. 소설 '팔란티어'는 이런 게임 중독이 불러올 사회적 문제를 스릴러라는 장치를 통해 독자에게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특히 현실에서는 평범하던 사람이 인터넷에서 '악플러', '마녀몰이꾼' 등 각종 선동자가 되는 이중성을 작품 속에서 가상 현실 부적응이 만들어낸 다중인격으로 풀어내어 극의 재미를 더한다."
세이지 LV.21 작성리뷰 (40)
루피카 LV.23 작성리뷰 (54)
와플 LV.5 작성리뷰 (2)
특히 마지막 엔딩은... 최고
테시오스 LV.18 작성리뷰 (29)
Я활자중독R LV.21 작성리뷰 (43)
멀린 LV.22 작성리뷰 (47)
그러나 소재, 전개, 결말은 삼위일체가 되어 명작을 만들었다
읽은 지 오래되어도 이 책의 결말만큼은 잊지 못한다
붕붕94033 LV.17 작성리뷰 (26)
LISH COFFEE LV.8 작성리뷰 (5)
1999년도에 쓰여진 책이라고 믿기지 않는 수려하고 현대적인 문체에, 기승전결이 완벽한 스크립.
캐릭터 하나하나에 부여된 입체적인 생명력까지.
15년전 읽고 머리가 띵하고 며칠간 여운이 갔던 작품입니다.
몇 년에 한번씩 생각나서 읽고 또 읽어 봅니다 :)
씨푸드퐁듀피자 LV.17 작성리뷰 (29)
결말까지 충격적이어서 좋았습니다.
문로버21 LV.18 작성리뷰 (31)
작가의 철학에 공감하기 좀 힘들었다.
후유증 LV.30 작성리뷰 (81)
죠와 LV.24 작성리뷰 (58)
표지에 장편 스릴러소설이라고 표시한걸 봐도 알수 있지만 당시에는 애초에 장르가 생기기 전이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처음부터 도파민만 찾는 지금의 독자들이 어떻게 평가할지 모르겠지만 줄거리가 묵직하게 전개된다.
무협소설 외의 장르소설이 태동할때 나온 초창기의 명작.
근휴 LV.36 작성리뷰 (126)
Hyeok KIM LV.3 작성리뷰 (1)
내용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이 책은 "나"라는 자아이긴 한데, 나의 충동적 자아가 팔란티어라는 게임에서 싸우고
다투는 내용이 어떤 정신적인 변화를 줄 지에 대한 이야기이다.
읽는데 있어 상당한 스트레스가 있을 수 있으나, 장르소설 문학사에 있어서 정말 중요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으니, 완독을 추천한다.
소오강호 LV.24 작성리뷰 (54)
텁텁한소다 LV.28 작성리뷰 (77)
아주 재미니다.
ShinHyunjuxoo LV.35 작성리뷰 (115)
검은램프 LV.8 작성리뷰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