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래곤 라자

드래곤 라자 완결

<드래곤 라자 세트> * 한국 100만 부, 일본 40만 부, 대만 30만 부 판매 기록
* 판타지 소설로서는 출간작마다 10만 부 이상 판매되는 유일한 작품

『드래곤 라자』는 무한한 상상력, 깊이 있는 세계관과 뛰어난 작품성으로 한국의 대표적 환상 문학으로 자리잡은 작품이다. 1998년 출간되어 10년간 국내에서만 100만 부가 넘게 판매되며 한국 판타지 출판 시장을 확장시켰다. 일본에서는 2006년 출간되어 현재까지 40만, 대만에서 두 번의 교정쇄가 출간되며 30만 부(출간중)가, 중국(홍콩)에서는 10만 부가 판매되었다.

『드래곤 라자』는 설정은 대부분 기존의 판타지 설정을 그대로 따름으로써 탄탄한 환상 세계를 구축하는데, 그 속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은 새롭고 흥미진진하게 펼쳐지며 계속 독자의 의표를 찌른다. 그리고 전권에 걸쳐 일관된 주제를 추구하는데, 그 주제는 '인간성'에 대한 탐구로서 정통적인 소설의 질문을 진지하게 고수하고 있다. 작가는 '인간 외에도 지성을 가진 종족들이 함께 존재하는 판타지 세계를 그림으로써 인간이 과연 무엇인지, 본질적인 인간성을 탐구해 보고 싶었다'고 말한다. 12권에 이르는 이 방대한 작품은 뛰어난 재미와 짜임새 있는 구성력으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간다.

전체 줄거리를 이끄는 핵심 설정은 '드래곤 라자'라는 존재의 정체에 달려 있는데, 드래곤 라자란 인간과 드래곤을 이어주는 중개자를 말한다. 드래곤 라자가 없는 드래곤은 인간과 대화하고 소통하거나 우정을 나누지 않고 완전한 이종족으로 취급하여 무시한다(인간이 벌레를 대하는 것처럼). 그러나 드래곤 라자의 자질을 가진 사람이 드래곤을 찾아가 계약을 맺으면 그때부터 그 드래곤은 인간과 교류하게 된다. 전쟁에 얽힌 음모, 몇 백 년 전의 비밀, 국가 권력층의 암투와 몬스터들의 공격으로 거친 모험을 겪으며 17세의 소년 후치를 비롯한 주인공들이 찾아가는 것은 드래곤 라자와, 드래곤 라자의 존재로 상징되는 '타인과의 교류'가 갖는 의미이다.

이 작품의 또다른 특징은 이처럼 심각한 주제를 쉬운 문장에 녹여냈다는 점이다. 『드래곤 라자』의 문체는 대단히 활달하며 전체적인 분위기는 밝다. 책 전체에 걸쳐 배를 잡게 하는 유머와 위트가 넘쳐나고 1인칭 화자인 주인공의 콕콕 찌르는 독설과 풍부한 입담이 거침없이 펼쳐진다.

더보기

컬렉션

평균 4.44 (1429명)

체인스필드
체인스필드 LV.23 작성리뷰 (42)
이 작품을 볼때면 우리나랑 양판소랑 이 소설이 같은 배경을 가지고 만들어진 소설이 맞나 싶다. 작품이 순하디 순해서 처음으로 판타지를 접하는 사람이 읽으면 판타지의 매력에 푹 빠지지 않을까 싶다. 물론 이거 읽고 양판소 읽으면 책으로 안 보이겠지만... 옛날 작품인데도 나름 부드럽게 넘어가는 걸 보면 정말 좋은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2021년 10월 18일 2:52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박무성
박무성 LV.10 작성리뷰 (10)
초반에는 요즘 스타일과 너무 안맞는 스토리라 주춤했었음. 하지만 조금 관성이 붙고 나니 정말 재미있게 술술 읽혔음. 내 1세대 명작들 입문책임. 이건 정말 웹소설로 유입된 사람들도 모두 한번씩 읽어봤으면 함
2021년 10월 21일 1:40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구라보노
구라보노 LV.32 작성리뷰 (89)
명작인데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 다시 읽어보면 부족한 부분들이 보이긴 함. 어렸을 때 드래곤 라자에 푹빠져서 판타지에 입문했었는데 추억이네요.
2021년 11월 26일 1:2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선인장
선인장 LV.22 작성리뷰 (36)
장점과 단점이 섞인 작품이라고 본다. 이 소설은 철저하게 '타자(他者)'라는 모티프에 집착한 작품이다. 이영도라는 작가는 환상소설의 정수는 비경험적, 미지의 것에 대한 태도가 주된 장르적 경험이라고 느꼈던 것 같다. 작품 전체적으로 타자에 대한 캐릭터 각각의 대응을 주된 소재로 이야기를 집요하게 전개한다. 그 과정이 조금은 희화적으로 느껴지기도 한다. 특히 마지막 주인공과 드래곤의 대화는 너무 직설적이라 불편할 정도다. 이영도라는 작가가 최근에 SF를 주로 쓰고 있는 것은 어떻게 보면 당연한 귀결이기도 하다. 사실 장르소설로서 비경험적인 것에 대한 경의, '센스 오브 원더'는 SF에 맞는 것이지 판타지에 맞는 옷이 아니다. 판타지라는 장르는 겉보기에는 미지에 대한 동경처럼 보일 수 있으나 들여다보면 톨킨이나 루이스 처럼 처럼 거대 서사를 구축하는 방식에서 시작했고 오히려 '타자'에 대한 '정복'의 서사라고 볼 수 있기도 하다. 드래곤 라자는 이런 불편한 옷을 억지로 껴입은 느낌이라 기이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더욱 기이한 것은 이 소설이 한국 판타지 장르 소설에서 그럴듯하게 제대로 쓰여진 거의 첫 작품이라는 것이다.

더보기

2021년 11월 28일 5:39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주야09
주야09 LV.24 작성리뷰 (55)
판타지의 왕도
2021년 12월 9일 8:46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qpwie
qpwie LV.24 작성리뷰 (45)
초중반부터 미친듯이 읽힘
2021년 12월 28일 12:16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리랴호
리랴호 LV.22 작성리뷰 (42)
소설에 입문하게 된 계기. 지금은 팔았지만 양장본으로 사서 읽었음. 지금 읽으면 낡은 감이 없잖아 있지만 추억보정으로 별 5개
2022년 1월 19일 10:42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니달리충
니달리충 LV.32 작성리뷰 (99)
나에겐 안 맞았던 소설
2022년 2월 4일 7:24 오후 공감 0 비공감 1 신고 0
Ddxdxx
Ddxdxx LV.21 작성리뷰 (40)
진짜 명작
읽을때 고민하고 생각을 해보는 소설이 진짜 좋은 소설이라 생각하는데 이 책은 길이가 긴만큼 캐릭터가 입체적이고 매력있다 애피소드마다 재미가 있으며 철학적이다. 몇몇장면은 숨도 못쉬고 봤던 기억도 있다
2022년 2월 9일 11:40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박지수
박지수 LV.84 작성리뷰 (491)
명성을 얻으면 뭘 써도 찬양하는 사람이 나타난다.
추억은 어디까지나 추억.
2022년 3월 5일 10:47 오후 공감 0 비공감 3 신고 0
아리
아리 LV.14 작성리뷰 (13)
이건 중학생 감성이다. 아에 판타지가 뭔지. 오우거가 뭔지. 고블린이 뭔지. 드래곤이 뭔지 그 개념조차 애매한.. 그렇게 무지하게 순수할 때 읽으면 좋을 판타지. 그당시에 재밌었으니까 별점좀 쳐준다
2022년 3월 8일 4:03 오후 공감 0 비공감 1 신고 0
잡식성독자
잡식성독자 LV.8 작성리뷰 (5)
국내 판타지 대중화의 개척자라는 의의가 있고, 추억보정이 들어갔을지는 모르겠지만...

하여간 좋은 작품. 재미와 감성을 동시에 잡았다.
2022년 4월 2일 7:08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글리세롤
글리세롤 LV.43 작성리뷰 (182)
재밌어요
2022년 4월 3일 7:34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aricha
aricha LV.19 작성리뷰 (31)
후치 네드발..
몇년이 흘러도 여전히 주인공 이름을 기억하는 작품은 이거밖에 없음. 심지어 3번 읽음. 읽을때마다 좋음
2022년 4월 10일 3:00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HANAKARA
HANAKARA LV.56 작성리뷰 (307)
한번쯤 봐야할 작품
2022년 5월 22일 11:1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거북이찬스
거북이찬스 LV.35 작성리뷰 (117)
이건 소설이 아니라 문학 작품이다.
2022년 6월 3일 4:37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아무르타트
아무르타트 LV.51 작성리뷰 (201)
나는 단수가 아니다.
2022년 6월 8일 6:17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Werther
Werther LV.21 작성리뷰 (41)
대단한 작품
2022년 6월 14일 2:03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뽀로뽀로
뽀로뽀로 LV.16 작성리뷰 (21)
한국 판타지의 왕도라고 하지만 그때 그 당시에도 지금 다시 보면서도 대단한 작품이라는 감상은 못 받았음 이 작품에 대해서는 좋은 평가 주기는 미묘함 근데 요즘 웹소설이랑 비교할 작품은 아님 국내 국외를 포함한 다른 왕도 판타지 소설들과 비교했을 때 얘기니 그 자체로 급이 있다고 생각함
2022년 6월 27일 2:06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이승현899
이승현899 LV.23 작성리뷰 (51)
시대를 풍미한 작품
2022년 7월 1일 2:33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밥머고가
밥머고가 LV.21 작성리뷰 (44)
1998년 여름 난 판타지에 빠졌다.
2022년 7월 21일 12:54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가나사바
가나사바 LV.22 작성리뷰 (44)
나 어렸을 때 2000년대 중반 때는 재밌게 봤다.

그런데 지금 보면 "이게 그렇게까지 고평가 할 소설인가?"라는 느낌이 듦.

근들갑 떠는 새끼들이 뭐 교과서에도 나왔다고 근들갑 떨면서 개발광을 하는데 지금보면 글이 유치함. 문체도 그렇고 요즘 양판소에서도 잘 안 쓸 거 같은 문장임.

근데, 구조가 튼튼함.
이걸 지금 다시보면 무슨 느낌이냐면, 천하일절의 재능을 가진 무림 후기지수 보는 느낌임.

뭔가 검 잡는 것도 어설프고, 초식도 뭔가 어설픔. 딱 봐도 얘는 무공 배워본 적 없는 놈임. 근데 비무 중 천하제일인에게서만 보이는 번뜩이는 한 수 같은 게 보임.

그리고 그 애는 실제로 커서 천하제일인으로 성장함. 지금은 노화로 인한건지, 젊었을 때 재능을 다 불살랐는지 예전 같지는 않지만...

얘도 마찬가지임. 오히려 피를 마시는 새보다도 글의 구조 측면에서는 더 나아보이는 면도 있음.

같은 틀딱이지만 틀딱새끼들이 근들갑 떨면서 과도하게 고평가 하는 바람에 오히려 평가가 내려간 느낌의 소설이다. 실제로 명작인 건 맞지만, [우리나라에 다시 없을 명작] 그 정도는 아니다.

더보기

2022년 7월 24일 9:32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나름대로의삶
나름대로의삶 LV.3 작성리뷰 (1)
판타지 입문작
2022년 7월 29일 9:27 오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페드로정
페드로정 LV.22 작성리뷰 (46)
틀딱이 오래전에 읽고 감동을 느꼈던 명작. 소위 말하는 틀딱이 되고 나서 다시 보니 그 시절에는 느끼지 못했던 약간의 거친 느낌과 아쉬운 요소들이 눈에 걸리긴 한다. 다만 한국 판타지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작품이라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
2022년 8월 1일 8:37 오후 공감 0 비공감 0 신고 0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

링크를 통해 구입 시,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소셜넷의 지속 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해 사용됩니다.